목차
01. 실험목적
02.실험원리 (이론)
03. 실험재료와 방법
04. 실험결과
05. 고찰
06. 참고문헌
본문내용
01. 실험목적
: <실험10. 당질검정>에서 인체에 당질이 어떻게 쓰이는지 이해하는 것을 실험 목적으로 한다. 특히, 당질이 가지는 물성적인 특성을 이해하여 당질을 분석하는 원리를 학습한다.
02. 실험원리 (이론)
– 당질이란
(1) 당질의 정의 : 당질은 탄수화물(carbonhydrate)라고도 불린다. 당질은 녹말, 셀룰로스, 포도당 등과 같이 일반적으로 탄소, 수소, 산소의 세원소로 이루어진 화합물이다. 생물체의 구성성분이거나 에너지원으로 사용되는 등 꼭 필요한 화합물이다. 당질은 특히 지방, 단백질과 함께 3대영양소 중 하나이다.
(2) 당질의 쓰임 : 당질은 여러 기능을 한다.
①에너지원 : 당질은 단백질, 지방과 함께 3대 영양소 중 하나이다. 당질 1g은 4kcal 에너지를 제공한다. 특히, 당질은 뇌의 에너지원으로 사용되고 뇌 기능 개선에 도움을 준다.
②신체 기능 수행 : 당질은 신체 내에서 다양한 중요한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세포의 신호 전달과정에서 당질이 사용된다. 그리고 식이섬유 형태의 당질은 소화기능을 돕고 대장암, 변비 예방에 도움을 준다.
③핵산 구성성분 : 핵산은 뉴클레오타이드 단위체로 구성되어 있다. 뉴클레오타이드는 인산, 5탄당, 핵염기로 구성되어 있다. 즉, 당질은 핵산의 필수 구성성분이다. 그 종류로 리보오스와 디옥시리보스가 있다.
④세포벽의 구성성분 : 세포벽의 단백질과 다당류는 공유 결합하여 당단백질을 합성한다. 이 당단백질의 증감은 세포벽 신장 생장의 정지와 관계가 깊다. 예를 들어, 식물세포나 미생물 세포의 바깥쪽 표면을 덮는 세포벽은 주로 섬유소인 셀룰로오스로 구성된다.
(3) 당질의 분류 : 당질은 단당류, 이당류, 다당류로 분류할 수 있다.
단당류 : 단순당류라고도 불린다. 가수분해에 의하여 더 간단한 화합물로 분해되지 않는 가장 기본적인 탄수화물 단위체이다.
출처 : 해피캠퍼스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