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질병연구
2. 간호사정
3. 간호과정 적용(일시/우선순위에 따라 기술)
본문내용
4) 총괄적 소견
202O년 4월 30일 87세 남자 배○○님은 6시 식사 전 왼쪽 하지에 힘이 빠져 넘어지셨고, 아내와 대화하는데 말이 어눌하게 나왔다. 아들이 대상자가 물을 제대로 마시지 못하고 흘리는 모습을 발견하여 증상 발현 5시간 51분만인 11시 51분에 응급실에 내원하셨고, R middle cerebral artery infarction을 진단받았다. 대상자는 2009. 3. 02 복부대동맥류를 진단받아 EVAR(복부대동맥 스텐트 그라프트 삽입술)을 시행한 과거력이 있다. 9년전 고혈압과 당뇨를 진단받았고, 50년간 흡연을 하고 1년 전 금연한 흡연력이 있다.
<중 략>
5) 간호진단 진술 및 우선순위
(1) 간호진단
① 혈관 폐색으로 인한 산소 공급 감소 및 와 관련된 가스교환장애
② 기도 분비물 증가와 관련된 비효과적 기도청결
③ 기저귀 사용 및 부동과 관련된 욕창 위험성
④ 하지 허약감과 관련된 신체기동성장애
⑤ 뇌 혈관 폐색과 관련된 비효과적 뇌조직 관류의 위험
⑥ 의식수준 저하와 관련된 낙상 위험성
⑦ 신경계 손상과 관련된 언어적 의사소통 장애
(2) 우선순위
1순위: 혈관 폐색으로 인한 산소 공급 감소 및 폐 기능 저하와 관련된 가스교환장애
근거 : 대상자는 SpO₂ 감소와 호흡수 증가가 나타났다. 호흡 문제는 즉시 해결해 주어야 하는 우선 순위가 가장 높은 문제이다. 따라서 가스교환장애는 매슬로우 욕구 단계 중 생리적 욕구를 위협하는 요인이므로 가장 우선되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출처 : 해피캠퍼스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