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동간호학실습 체액부족, 피부통합성장애

목차

1) 간호진단
2) 우선순위
3) 간호과정
4) 퇴원요약지

본문내용

2) 우선순위

#1 비효율적인 수유양상과 관련된 체액 부족
#2 잦은 배설과 관련된 피부통합성장애

체액 부족은 매슬로우 욕구 단계 중 생존의 욕구를 가장 위협하는 요인이므로 가장 우선되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피부통합성장애도 매슬로우의 욕구 단계 중 생존의 욕구를 위협한다. 피부통합성장애는 국소적인 문제에 비해 체액 부족은 전신적인 문제이므로 생명유지와 직결된다. 따라서 체액 부족, 피부통합성장애 순으로 우선순위를 매기게 되었다.

3) 간호과정

간호 진단
#1
비효율적인 수유양상과 관련된 체액 부족

사정 내용

O:
객관적 자료:
∙ 39주 5일 g-tube start 시작 후 main fluid 주입속도 0.5cc→0.4cc로 줄임
∙ 40주 4일 main fluid 0.3cc/min으로 줄임
∙ 40주 1일 bottle feeding start, 금방 지침
∙ 40주 3일 bottle feeding 15cc q 6hr & G-tube feeding 20cc q 3hr(5회/day)
∙ 40주 3일 잔류량 5cc 확인되어 feeding 후 다음 잔류랑이 10cc 확인되어 1차례 feeding skip
∙ 40주 4일 Total input : 533.4cc(G-tube+Bottle feeding: 150cc, IV: 383.40cc)
Total output : 428cc(자연배뇨: 412cc, levin tube: 16cc)

<중 략>

간호 진단
#2
잦은 배설과 관련된 피부통합성장애

사정 내용

O:
∙ 장시간 기저귀 착용함
∙ 40주 1일 배변양상: 무른변, 3~5회/day
∙ 40주 1일 항문주변 redness, size 1×1
∙ 40주 4일 배변(무른변): 5회
∙ 40주 4일 항문주변 redness, size 2×1
∙ 40주 4일 자연배뇨: 412cc

출처 : 해피캠퍼스

코멘트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