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품사의 분류기준
2. 한국어의 품사 분류 기준
3. 영어의 품사 분류 기준
4. 한국어와 영어 품사 분류의 차이점
Ⅲ. 결론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품사란 한 언어의 단어들을 그 의미, 형식, 기능에 따라 크게 분류한 것을 말한다.
품사를 분류하는 기준은 언어마다 다르지만, 어느 정도의 공통점은 찾을 수 있다. 어떤 특정한 대상을 가리키는 품사(명사)와 동작이나 상태를 나타내는 품사(동사)가 있다는 것은 모든 언어에 공통된다. 사물의 성질이나 상태를 나타내는 품사(형용사)와 문장에서 다른 품사를 수식하는 품사(부사)까지 일반적으로 다음 네 가지 품사는 모든 언어에 다 존재한다고 본다. 하지만 전치사, 관사, 조사 등의 기능어는 범언어적 공통성을 상정하기 훨씬 어렵기 때문에, 대체로 언어마다 다른 개념과 용어를 사용한다.
아래에서는 한국어의 품사 분류의 기준을 제시하고 영어의 품사 분류의 차이를 설명하고자 한다.
출처 : 해피캠퍼스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