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2. 문헌고찰
4. 간호과정
5. 간호과정 적용
본문내용
1. 서론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사례소개
2021년 우리나라 사망원인 통계에 따르면 3대 사인인 암, 심장 질환, 폐렴으로 폐렴은 인구 10만 명당 44.4명 꼴로 사망하여, 이는 전체 3위에 해당할 정도로 높은 수치를 보이고 있다. 또한 10년 전보다 폐렴은 158.8% 사망률이 증가하였다. 또한 폐렴은 2021년 다빈도 질병 기준년도에서 환자수 126,753명으로 9위에 위치하고 있으며, 질병별 요양급여비용총액은 513,458,526천원으로 6위이다.
특히 70대에서 사망원인 4위(사망률 123.2%), 80세 이상에서 3위(사망률 791.7%)가 폐렴으로 고령층에게 치명적인 질환이며, 면역력이 저하된 환자에게 발생하는 심각하고 상대적으로 흔한 감염성 질환이기에 케이스로 선정하게 되었다.
2. 문헌고찰
*진단명: 폐렴(Pneumoina, pneumonitis)
*정의: 폐렴은 세균이나 바이러스, 곰팡이 등의 미생물로 인한 감염으로 세기관지와 같은 폐 실질조직에 부종을 초래하는 염증과정이다. 기침, 염증 물질의 배출에 의한 가래, 숨 쉬는 기능의 장애에 의한 호흡곤란 등 폐의 정상적인 기능에 장애가 생기는 폐 증상과 구역, 구토, 설사 등의 소화기 증상 및 두통, 피로감, 근육통, 관절통 등의 신체 전반에 걸친 전신 질환이 발생할 수 있다. 흉부 X-ray 사진에서 폐렴을 의심할 수 있는 소견이 확인된다.
1) 원인
폐렴의 원인으로는 세균, 바이러스, 곰팡이 등이 있다. 미생물에 의한 감염성 폐렴 이외에 화학물질이나 방사선 치료 등에 의해 비감염성 폐렴이 발생할 수 있으며, 구토물 같은 물질을 흡입함으로써 폐에 염증이 생길 수 있다.
① 바이러스성 폐렴: 대부분 Respiratory Syncytial Virus(RSV), Parainfluenza virus, adenovirus 등이 원인
② 마이코플라즈마 폐렴: mycoplasma 중 M. pneumoniae에 의해 발생
③ 세균성 폐렴: 연쇄상구균, 포도상구균, 폐렴구균이 원인균
원인균 ⇒ 지역사회와 병원에서 감염을 일으키는 균이 포함
⦁ 지역사회 감염 폐렴의 원인균
– streptococcus pneumoniae(그람양성) ⇒ 세균성 폐렴의 가장 흔한 폐렴으로 모든 폐렴의 50%를 차지
– haemophilus influenza(그람음성)
– chlamydophlia pneumonia(기생충)
– legionella pneumonia(그람음성)
– mycoplasma pneumonia(자유롭게 서식하는 가장 작은 세균)
출처 : 해피캠퍼스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