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인간호학 위궤양 간호과정

목차

1. 문헌고찰
1) 정의
2) 원인
3) 병태생리
4) 증상
5) 진단검사
6) 치료
7) 간호
8) 합병증

2. 대상자 기초자료 수집
1) 개인력
2) 건강력
3) 간호력
4) 임상검사
5) 활력징후

3. 간호과정
1) 질환과 관련된 상복부 통증
2) 구토로 인한 수분&전해질 불균형 위험성

4. 참고문헌

본문내용

1. 위궤양
– 정의
위 점막의 결손이 점막근관층을 지나 점막하층이나 고유근층까지 도달한 경우를 뜻한다. 궤양의 가장자리는 평활하고 완만하며, 궤양의 바닥은 백태가 균일하고 깨끗하다. 하지만 궤양의 크기가 큰 경우는 불규칙할 수도 있다.위궤양의 경과에 따른 시기를 활동기, 치유과정기, 반흔기로 구분하고 있다. (Sakita)
1) 활동기
A1기는 궤양 주변에 부종이 심하여 궤양 바닥에 비해 주위 점막의 융기가 높아 궤양이 깊어 보인다.A2기는 궤양 주변의 부종과 궤양 바닥의 백태가 감소하기 시작하여 일부에서는 점막 주름의 집중이 관찰된다.* A1기는 짧아서 활동기에서 A1보다 A2기의 궤양을 보게 되는 일이 많다.
2) 치유과정기
H1기는 궤양 주변에 점막 주름의 집중이 명확하게 나타나기 시작하며 궤양의 깊이가 얕아지는 시기이다.H2기는 궤양 바닥에 덮여있는 하얀 점액이 없어져 궤양의 크기가 현저하게 감소하며 점막주름의 집중과 재생상피가 더욱 현저해지는 시기이다.
3) 반흔기
S1기는 적색 반흔이라고 하며 궤양 기저부의 백태가 보이지 않으며 붉은색의 재생상피가 남아있고 주름의 집중이 반흔의 중심까지 진행되어 있다.S2기는 백색 반흔이라고 하며 재생상피의 붉은색도 사라지고 주변 점막과 거의 같은 색조를 띠고 점막 주름도 거의 없어지게 된다.

출처 : 해피캠퍼스

코멘트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