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목차
1. 정의
2. 원인
3. 병태생리
4. 증상 및 징후
5. 진단검사
6. 치료
7. 간호
8. 참고문헌
본문내용
1. 정의
ㆍ유관이나 유선염에서 발생하는 모든 악성 종양으로 전세계적으로 전체 여성암의 25.2%를 차지ㆍ유방에서 비정상적인 조직이 계속 자라거나 다른 장기에 퍼지는 질병
ㆍ여성암 중 갑상선암에 이어 두 번째로 흔한 암 (전체 여성암의 15.4%)
침윤성 유관암
ㆍ유관을 이루고 있는 세포에서 기원한 암
ㆍ전체 유방암의 약 75~85% 차지
침윤성 소엽암
ㆍ소엽을 이루는 세포에서 기원
유관 상피내암
ㆍ유관을 이루는 세포에 생긴 암
ㆍ유관의 기저막을 침범하지 않은 0기 암이라고도 함
ㆍ침윤성 유방암보다 훨씬 예후가 좋음
소엽 상피내암
ㆍ소엽을 이루는 세포에 생긴 암
ㆍ소엽의 기저막을 침범하지 않으 0기 암이라고도 함
ㆍ유관 상피내암에 비해 젊은 연령층이 흔하고 다발성, 양측성임
파제트병
ㆍ유두 및 유륜의 피부에 주로 발생하는 유방암
ㆍ전체 유방암의 1~2%
2. 원인
호르몬 요인
ㆍ월경기간 지연(12세 이전의 빠른 초경, 55세 이후 늦은 폐경)
ㆍ경구피임약 복용
ㆍ호르몬대체요법
ㆍ30세 이후의 초산
ㆍ자궁내막암
ㆍ유방암이 발생한 반대편 유방
ㆍ양성 유방질환
ㆍ다른 장기의 암(난소, 자궁, 대장, 내분비샘)
비호르몬 요인
ㆍ유방암 가족력
ㆍ면역기전의 저하
ㆍ표준체중의 40% 이상 비만
ㆍ규칙적인 운동 부족
ㆍ폐경 후 체중증가와 비만
ㆍ지방이나 알코올의 과다섭취
ㆍ야간근무 교대 근로자
ㆍ연령 (65세 이상)
ㆍ치밀한 유방조직
ㆍ미산부
ㆍ모유수유를 전혀 하지 않은 경우
ㆍ높은 수준의 사회경제 상태
ㆍ큰 키
출처 : 해피캠퍼스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