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도서 요약 ) 뉴노멀 시대의 장소 브랜딩

목차

1. 장소 브랜딩
2. 장소 브랜딩 예시
3. 장소의 콘텐츠
4. 도시 경쟁력 (관광 산업)
5. 홍보
6. 도시 재생
7. 마이스 산

본문내용

장소 브랜딩
매력적인 이미지를 만들고 이를 통해 부가가치를 창출하는 다양한 방식의 전략

핵심
– 장소를 유명하게 만들려는 의도적 접근보다는 장소를 의미있게 만드는 일에 주력해야 함.
– 장소 고유의 정체성(차별화)을 개발하고 정교화 과정을 거치는 전략적 관리 필요.
– 그 장소에서만 발견할 수 있는 특성이 유지되어야 함.
– 도시의 고객(거주민, 관광객, 투자자 등)에게 유익하고 가치 있어야 하며, 그들의 참여를 통해 만들어져야 함.

사전 준비
– 충분한 현황 파악과 사전 조사 필요
– 광범위한 타겟층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확고한 정체성 설정
– 통합적이고 일관된 커뮤니케이션 프로그램 개발 필요

진행 과정
– 긍정적인 정체성을 형성하는 데 도움이 될 만한 정보들을 적극적으로 유통시키는 작업을 해야 함.
– 장소에 대한 정보가 노출되는 다양한 접점을 총제적으로 관리해야 함.
– 통합적이고 일관성 있는 가이드라인이 필요
– 핵심 구성요소 BI와 상징물에 ‘혹독한 구조조정’이 필요
– 무엇을 어떻게 다양한 부류의 시민들에게 전달되어야 하는지에 대한 연구와 공청회, 포럼 등 시민과 전문가 그룹에 의한 사전점검 필요

이미지
– 경쟁력을 갖춘 거주지가 되기 위한 과정 필요(쾌적한 자연, 편리한 교통, 학군, 투자 가치 등)
– ‘살기 좋은 곳’으로 인식되도록 하는 장기적 안목의 브랜드 커뮤니케이션 필요

출처 : 해피캠퍼스

코멘트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