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수술과 관련된 급성 통증
2. 침습적 처치와 관련된 감염위험성
본문내용
과학적 근거
피부와 하부 조직은 수술 동안 절개와 당김에 의해 외상을 입는다. 수술하는 동안 체위나 기 관 내삽관, 카테터와 같은 내부장치 사용도 통 증을 유발할 수 있다. 내부 장기에 가해지는 압력은 통증을 유발한다.
(성인간호학 상권 제11판, 김옥수 외 30명 현문사. 275쪽)
주관적 근거
“배가 쑤시는 것같이 아파요”
객관적 근거
– 10/26 small bowel segmental resection(laparoscopic)
– 통증부위: 복부 수술 부위
– 통증양상: 날카롭고 쑤시는 양상
– 통증점수: NRS 6점 – 얼굴을 찡그리고 있고, 몸을 이리저리 뒤척임
– 10/26 12:05 V/S 170/110-93-20-35.8
장기 목적
대상자는 퇴원 시까지 수술 부위에 통증을 호소하지 않는다.
단기 목표
– 대상자는 약물요법 시행 후 1시간 이내에 NRS 점수가 3점 이하로 감소된다.
– 대상자는 3일 이내에 통증이 사라졌다고 말한다.
간호계획
진단적 지시
– 대상자의 통증 정도를 통증사정도구(NRS)를 통해 사정한다.
– 대상자의 비언어적 행동반응을 관찰한다.
– 대상자의 활력징후를 4시간마다 사정한다.
– 통증의 악화요인과 완화요인을 사정한다.
출처 : 해피캠퍼스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