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급성 뇌경색과 관련된 비효과적인 뇌조직 관류장애
2. 건강상태 변화와 관련된 불안
본문내용
※ 뇌경색 정의
– 뇌혈관이 막혀서 영양분과 산소를 공급하는 피가 뇌에 통하지 않는 상태
※ 뇌경색의 원인
– 동맥경화: 경동맥(carotid artery), 두개내 동맥(intracranial arteries)의 동맥경화증이 뇌경색을 일으킬 수 있다. 이 경우 동맥경화증으로 인한 협착 자체가 원인이 되기도 하나, 동맥경화반(atherosclerotic plaque)으로부터 먼 쪽에 있는 혈관으로 색전(emboli) 을 일으켜 뇌기능 저하를 일으키기도 한다.
– 심장병: 부정맥, 심근경색, 심한 심부전 등은 심장 내부에서 혈전을 생성하여 뇌경색을 일으키기도 한다. 특히 심방세동은 뇌경색의 주요 원인 중 하나이며, 평소에는 정상이다가도 갑작스럽게 심장이 불규칙하게 뛰는 발작성 심방세동도 존재하기 때문에 한 번의 검사로 확인하기 어려울 수 있다.
– 소혈관질환: 뇌에 있는 소혈관들은 고혈압에 의한 변성을 잘 일으킨다. 이로 인한 뇌경색은 크기가 작지만 반신에 마비 또는 감각저하를 잘 일으킵니다. 열공뇌경색 (lacunar infarction) 이라고도 한다.
– 뇌경색의 위험요인
1.1.1.1.1. 나이
1.1.1.1.2. 성별
1.1.1.1.3. 고혈압 (4~5배)
1.1.1.1.4. 흡연 (1.5~3배)
1.1.1.1.5. 당뇨병 (2~3배) 고지혈증 (1~2배)
1.1.1.1.6. 경동맥협착 (2배)
1.1.1.1.7. 심방세동 (5~18배) 심장병 (2~4배)
※ 뇌경색 종류
1) 뇌혈전증(혈전성 뇌경색)
– 동맥경화증이 생겨 손상된 뇌혈관에 혈전이 생기면서 혈관이 좁아져서 막히는 경우
– 수도관에 녹이 스는 경우라고 생각하면 됨
출처 : 해피캠퍼스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