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고 있다’와 ‘는 중이다’의 유사점과 차이점
2. ‘이/가’와 ‘은/는’의 유사점과 차이점
Ⅲ. 결론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한국어 교육에서 문법교육이 중요한 이유는 중간언어와 화석화 이론때문이다. 먼저,중간언어라는 것은 학습자의 언어를 설명하는 것에 가장 많이 사용되는 용어이다. 중간언어는 불완전한, 그리고 과도기적인 성격을 띤 언어로서 목표어 체계에 지속적으로 접근해 나가는 중간단계의 언어체계를 말한다. 따라서 모국어에서 목표어(여기서는 한국어)에 이르는 중간에 걸쳐져 있어서 두 가지 언어 속성을 모두 가진고 있는 언어 체계로 볼 수 있다. 중간언어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중간언어는 체계성을 갖추고 있다. 외국어 학습자는 내재화되어 있는 규칙 체계에 의하여 언어수행을 하며 그들의 목표어에 대한 지식은 단일적인 전체 체계를 형성한다.
둘째, 중간언어 또한 다른 자연 언어처럼 변이성을 가지고 있다. 변이성이라는 것은 사회언어학적인 맥락과 주목의 정도 등에 따라서 언어적인 항목이 상이한 형태로 나타나는 것을 말한다.
셋째, 중간언어는 어느 단계에서 학습자의 지식이 멈추지 않고 계속적인 수정 및 확장을 하며 정상적인 어법을 향해 지속적으로 변화하는 역동성을 갖고 있다. 하지만 때로는 학습자의 언어가 진보하지 않은 상태로 굳어져 버리는 화석화 현상이 발생하거나 초기 중간 언어 상태로 퇴행하는 양상을 보이기도 한다.
출처 : 해피캠퍼스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