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장애등급제 폐지 추진 배경
2. 장애인 맞춤형 서비스체계 구축 방안
3. 내가 생각하는 장애등급제 폐지에 따른 장애인의 삶의 변화
Ⅲ. 결론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장애등급제는 「장애인복지법」에 근거하여 15개의 장애 유형과 1-6등급으로 분류되며, 장애인의 의학적 손상에 의한 의학적 판정기준으로만 이루어진다(보건복지부, 2011). 이 제도는 지난 30여 년간 장애인복지 지원을 위한 기본적인 토대였으며, 장애인의 소득보장, 감면, 할인제도 및 서비스 지원에 있어서 대상자와 지원수준을 결정하는 핵심적 기준이 되어 왔다(이승기, 2013).
그러나 식사, 외출, 신변처리 등 일상생활에서 타인의 도움이 필요한 장애인에게 활동지원 서비스를 제공해야 함에도 불구하고 장애등급제라는 의학적 판단을 근거로 하는 의료 모델을 토대로 한 기준은 장애인의 실질적인 욕구와 서비스의 필요를 충족시키지 못한다는 문제가 제기 되며, 꾸준한 장애인 등급제 폐지가 요구되었다.
출처 : 해피캠퍼스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