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복지 공공전달체계 중 지방자치단체가 운영 중인 지역사회복지(보장)협의체 1개소를 임의로 선정해서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성남시 사회보장협의체 연혁
2. 조직 구성
3. 주요 사업

Ⅲ. 결론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사회복지 서비스를 전달하는 체계는 크게 공공 전달체계와 민간 전달체계로 구분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선진적인 복지국가라고 하기 위해서는 공공 전달체계가 발달해야 한다. 그런데 현실적으로 국가, 특히 중앙 정부가 전국의 모든 지역의 문제와 주민들의 복지 수요를 알기란 어려운 일이다. 그렇기 때문에 최근에는 지자체가 지역사회의 문제를 해결하고 지역 주민들의 사회복지 욕구를 충족시켜주고자 하는 복지 분권화가 이루어지고 있다. 이에 따라 지방자치단체가 해야 할 역할이 늘어나게 되었는데, 그 중 하나가 지역사회복지협의체를 운영하는 것이다.
지역사회복지협의체는 사회보장 사업과 관련된 중요한 사항을 심의, 의결하고 지역사회보장 계획을 수립, 시행하며 지역 사회의 복지, 보건, 고용, 주거, 문화, 교육, 환경 등 지역의 생활 수준과 복지 향상을 위한 협력을 강화하기 위해서 민관이 협력하는 기구이다. 우리나라에서는 2005년부터 본격적으로 사회복지의 지방분권화가 이루어져서 국고보조금 방식으로 운영되었던 사회복지와 관련된사업 가운데 일부를 국고보조사업으로 이양했고, 2014년까지 분권교부세를 활용해서 지자체에 재정 지원을 하고 있다. 이에 각 지자체에서는 사회복지에 대한 역할을 수행하기 위해서 지역 내의 자원을 최대한으로 활용하기 위해 공공기관들과 민간 기구들이 네트워크를 구축하여 자원을 최대한으로 활용하기 위해서 사회복지협의체를 출범하였다.

출처 : 해피캠퍼스

코멘트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