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2. 본론
1. 호스피스·완화의료 현황
1) 법 : 호스피스·완화의료의 이용 및 임종과정에 있는 환자의 연명의료결정에 관한 법
2) 정책의 변화
3) 호스피스 유형
4) 주요사업 내용
5) 기관 현황
6) 호스피스 전문가 교육과 훈련
7) 문제점
2. 호스피스 전망
1) 고령화
2) 나아가야 할 방향
3. 결론
4. 출처
본문내용
서론
호스피스·완화의료란 치료가 어려운 말기 질환을 가진 환자와 가족을 대상으로 통증 및 신체적, 심리적, 사회적, 영적 고통을 완화하여 삶의 질을 향상하는 전문적인 의료서비스이다(김경은, 유명숙, 2021). 따라서 호스피스 완화간호란 죽음이 예견되는 환자와 그 가족의 삶의 질을 높일 수 있도록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 영적 증상들을 돌보는 간호 활동이다(김대숙 외, 2012). 마지막 임종 단계까지 삶의 질과 인간의 존엄성을 유지하기 위한 신체적, 정신적 지지 등에 대한 요구도는 높아지고 있어, 임종을 자연스런 삶의 한 과정으로 수용하고 통증 및 증상을 조절하며 좋은 죽음을 맞이할 수 있도록 말기 암 환자와 가족을 돕는 호스피스 완화 간호의 중요성이 매우 크다고 볼 수 있다(여형남, 2020)
1. 호스피스·완화의료 현황
1) 법 : 호스피스·완화의료의 이용 및 임종과정에 있는 환자의 연명의료결정에 관한 법
국가생명윤리심의위원회가 특별위원회(2012.12∼2013.5)를 운영하여 법조계, 윤리계, 종교계, 의료계, 시민단체 등 다양한 계층의 의견을 수렴하여 연명의료결정에 관한 특별법 제정의 권고안에 바탕을 둔 「호스피스·완화의료의 이용 및 임종 과정에 있는 환자의 연명의료결정에 관한 법률안」 (김재원 의원 대표발의)을 중심으로 7개의 법안을 병합 심의하여 마련된 대안이 2016년 2월에 공포되었다(이준석, 2015).
무의미한 연명의료 때문에 고통을 겪고 있는 환자의 고통을 완화하고, 환자의 자기결정을 존중하여 인간으로서의 존엄과 가치를 보호하기 위한 목적으로 제정된 이 법의 주요내용은 5개년 호스피스-연명의료 종합계획수립, 연명의료 중단 대상환자 판단 및 대상의료, 환자의 의사확인 등 연명의료중단 등 결정 절차, 사전연명의료의향서와 연명의료계획서 작성 및 관리체계 비암성 말기환자까지 호스피스 대상 확대 및 서비스 제공·관리체계 확충 등을 핵심내용으로 하고 있다(김창곤, 2017).
2) 정책의 변화
우리나라에서 1965년부터 호스피스활동이 시작되었고, 1996년부터 실시된 제1기 암정복 10개년 계획(1996∼2005년)을 통해 국가암관리사업의 기반이 조성되었다(김창곤, 2017).
출처 : 해피캠퍼스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