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간호학과 아동실습 분담과제보고서(사진o, 임상사례와 이론 비교, 느낀점 등 o)

목차

1.관련 내용
2.느낀점
3.임상과의 비교
4.출처

본문내용

1. 아동의 소변 및 대변 검사
소변 검사물은 보통 입원 당일 채취하는데, 나이든 아동은 간호사와 어머니가 서로 협력하여 쉽게 채취할 수 있으나 영아인 경우는 매우 어렵다.
따라서 배뇨훈련을 받지 않은 영아나 유아의 경우 요수집 주머니를 사용한다. 요수집 주머니 사용 전 간호사는 손위생을 하고 아동의 부착 주변 피부를 깨끗이 닦으며 여아의 경우는 생식기 주변에 잘 부착시키고 남아의 경우 요수집 주머니 안에 음경을 넣는다. 아동이 발로 주머니를 밀어내거나 차는 것을 막기 위해 요수집 주머니를 부착 후 기저귀를 채워 둘 수 있다.

<중 략>

2. Nebulizer 약물의 종류, 방법 및 주의사항
약물을 기도로 직접 주입하는 방법으로 기관지 확장제, 스테로이드, 항생제 같은 약물들이 주로 사용된다. 가장 널리 사용되는 기구는 손 분무기(hand-held nebulizer)로, 약물을 플라스틱 마스크 키트에 부어 아동의 코와 입에 분무하여 치료 동안 코와 인두에 약물이 축적되지 않고 기도까지 퍼질 수 있도록 입을 통해 천천히 숨을 쉬도록 한다

<중 략>

3. UTI 아동의 간호
대장균은 방광염을 일으키는 가장 흔한 원인이다. 재발하는 방광염은 요도의 정상 해부학적 구조를 변화시키는 염증성 변화를 일으키고 결국 방광요관 판막의 기능 부전으로 소변이 요관을 따라 역류되며 세균도 상부요로에 침입하게 된다. 소변역류가 계속되면 신장 감염이 생기는데, 여아의 요도는 짧기 때문에 세균의 요로 침입을 더욱 쉽게 한다.

<중 략>

4. 가와사키병 아동의 간호
‘피부점막 림프절 증후군’으로 불리는 급성 열성 혈관염으로 1967년 일본에서 처음 보고된 후 높은 발생 빈도를 보이고 있으며 최근 아동기에서 가장 흔한 후천성 심질환의 원인으로 부각되고 있다.

출처 : 해피캠퍼스

코멘트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