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정의
2. 원인 및 병태생리
3. 임상 양상
4. 진단적 검사(관련 사진有)
5. 치료 및 간호(관련 사진有)
5-1. 간암의 치료
5-2. 간암 환자의 간호
6. 참고문헌
본문내용
1. 정의
간암은 간에서 발생하는 모든 악성종양을 말한다. 크게 전이성 간암과 간 내에서 발생하는 일차성 간암으로 나누어진다. 전이성 간암이 가장 많은 부분을 차지하나 일차성 간암 중에서는 간세포에서 유래하는 간세포암종이 가장 많으며 이를 주로 간암이라고 부른다.
2. 원인 및 병태생리
대표적인 간암의 위험인자로는 만성 B형 간염, 만성 C형 간염, 간경변증, 연령, 음주가 있다.
(1) 만성 B형 간염
국내 간암 원인의 60-70%를 차지하는 주요한 원인으로 알려져 있다. HBV가 간암을 유발하는 기전은 명확하게 밝혀져 있지 않지만 동물 실험에서 HBV의 단백질 중 X단백질(HBx)이 여러 전사인자들을 활성화 시키거나, 세포 내 활성산소의 생성을 증가시켜 간암을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2) 만성 C형 간염
만성 C형 간염은 서구에서 발생하는 간암의 중요한 원인이다. HBV와 달리 HCV는 종양원성 단백질을 만들지 않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최근 중심 단백질 NS3, NS5등이 종양원성 단백질로서의 기능을 가지고 있음이 보고되었다.
(3) 간경변증
간경변증은 간암 발생의 가장 중요한 위험인자다. 원인 간질환에 따라 간암 발생률에 차이가 있는데 HBV나 HCV 감염에 의한 간경변증에서 자가면역성간염, 윌슨씨병에 의한 간경변증보다 간암 발생 위험이 더 높다.
(4) 연령
원인 간질환의 이환 기간이 길어짐에 따라 악성 전환의 가능성이 늘어나는 것으로 짐작되고 있다. 국내 연구에서는 40세 이상 환자에서, 서양의 경우에는 55세 이상 간경변증 환자에서 간암 발생률이 3.7-4배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5) 음주
알코올성 간질환에서 C형 간염의 빈도는 일반 인구에 비해 높으며 알코올과 HCV는 간경변증으로의 진행이나 간암 발생에 있어서 서로 상승 작용을 한다.
출처 : 해피캠퍼스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