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필요성
① Acute cholecystitis(급성 담낭염)이란?
② 발생현황
③ 질병으로 인한 삶의 질을 위협하는 문제
(2) 병태생리
① 급성결석성담낭염(acute calculous cholecystitis)
② 급성무결석담낭염(acute acalculous cholecystitis, AAC)
(3) 임상증상
(4) 진단적 검사
① 복부초음파(Abdominal Ultrasound)
② MRI(Magnetic resonance imaging, 자기공명영상)
③ 복부 CT(Abdominal Computed tomography, 복부 전산화 단층촬영)
④ 방사성 핵종영상법(Radionuclide imaging)
⑤ 혈액검사
(5) 주요치료(수술적 방법)
(6) Acute cholecystitis 간호과정
(7) 참고문헌
본문내용
* 담낭(쓸개)이란?
담낭은 7~10cm 정도의 크기로 서양배 모양의 기관이며, 간의 아래쪽 움푹 들어간 곳에 위치한다. 담낭에서 나온 담관은 간의 간관(hepatic duct)과 합쳐져 총담관(common bile duct)을 이룬다. 총담관의 담즙은 Oddi 조임근을 통해 십이지장으로 들어간다. 간에서 만들어진 담즙은 담낭에 저장되었다가 Oddi 조임근이 이완할 때 십이지장으로 들어간다. 담즙은 물, 담즙산염(bile salt), 빌리루빈, 콜레스테롤, 지방산, 레시틴(lecithin), Na⁺, K⁺, Cl‾, HCO₃‾ 등으로 구성된다. 담즙은 소화과정에서 십이지장으로 분비되어 지방을 유화시키는 기능을 하며, 담즙산염은 지방미립자의 표면장력을 감소시켜 장관의 움직임에 따라 음식을 잘게 부순다. 따라서 담즙은 지방의 소화를 돕고, 담즙산염은 음식을 잘게 부숴 소화효소에 의해 쉽게 소화되도록 돕는다.
(1) 필요성
① Acute cholecystitis(급성 담낭염)이란?
담낭벽에 발생하는 급성 염증을 말하며, 결석성 담낭염과 비결석성 담낭염으로 나뉜다. 대부분 담석에 의한 담낭관의 폐쇄로 유발되는 것이 특징이다. 담낭벽에 발생하는 염증반응은 3가지 인자에 의해 유발될 수 있다.
1) 기계적 염증: 담낭 점막과 담낭벽에 허혈을 유발하는 담낭내압의 증가 및 담낭 확장에 의해 유발되는 것.
2) 화학적 염증: 리소레시틴(담즙 내 레시틴에 phospholipase가 작용하여 합성된 물질)의 분비와 다른 국소적 조직인자에 의해 유발되는 것.
3) 세균성 염증: 대장균(Escherichia coli), 클렙시엘라종(Klebsiella species), 연쇄상구균종(Streptococcus spp), 클로스트리디움종(Clostridium spp) 등에 의해 유발되는 것. 급성 담낭염 환자의 50~85%에 해당한다.
출처 : 해피캠퍼스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