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고교 다양화
1) 고교다양화 정책이 걸어온 길
2) 자율화, 다양화된 교육체제
3) 고교다양화 300프로젝트
4) 고교체재 개편
2. 현행 고등학교 유형별 비교
3. 고교다양화의 특징
1) 고교 다양화 300프로젝트의 장점
2) 고교 다양화 300프로젝트의 단점
4. 고교 다양화의 실태
1) 일반고? ‘이반고’!!!
2) 수평적 다양화 인가 수직적 서열화 인가?
5. 출처
본문내용
I. 고교 다양화
2. 자율화, 다양화된 교육체제
.지방교육자치의 내실화
1. 지방교육행정기관의 조직· 정원 결정 권한을 시도교육청에 실질적으로 이양
2. 학교장 임용방식 다양화 및 학교단위 교원채용 확대
3. 정보공시 등을 통한 학교교육의 책무성 제고
.고교다양화 프로젝트
1. 기숙형고, 마이스터고, 자율형고 도입 운영
2. 학교특색 살리기 플랜 추진
.대학입시 3단계 자율화
1. 대입업무 대교협/전문대교협 이양
2. 입학사정관제 지원 확대 및 수능시험 응시과목 축소
3. 고교다양화 300프로젝트
.프로젝트 설립취지
누구든 적성에 따라 골라갈 수 있는 고등학교를 만들어 학생의 창의력 교육의 다양성을 제공하자는 취지
.왜 하필 300인가?
300이라는 숫자는 기숙형 공립고 150개, 마이스터고 50개, 자율형 사립고100개 라는 의미로, 정부가 만들고자 하는 새로운 유형의 고등학교 수를 의미
<중 략>
III. 고교 다양화의 특징
1. 고교 다양화 300프로젝트의 장점
출처 : 해피캠퍼스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