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전실험설계
(1) 단일집단 사후측정
(2) 단일집단 사전·사후설계
(3) 정태적 집단비교
2) 순수실험설계
(1) 통제집단 사전·사후설계
(2) 통제집단 사후측정설계
(3) 솔로몬 4집단 실험설계
3) 유사실험설계
(1) 비동일 통제집단설계
(2) 시계열 분석
* 참고문헌
본문내용
실험설계의 유형은 크게 세 가지로 구분할 수 있다. 즉, 실험설계의 유형을 구분하는 기준은 실험설계에서 비교집단이 있는지 여부, 집단구성에 있어서 무작위배정이 가능한지 여부, 실험설계의 효과를 파악하기 위한 사전 ․ 사후조사를 실시하는지 여부다. 실험설계의 조건이 대부분 충족될 수 있는 경우는 (진)실험설계([true] experimental design)라고 하고, 실험설계의 형식과 조건을 모두 충족하지는 못하지만 최소한의 조건을 충족하는 경우는 유사실험설계(quasi experimental design)라고 할 수 있다.
이와 함께 실험설계 조건의 대부분을 충족하지 못하는 경우는 전실험설계(pre-expehmental design)로 분류한다. 엄격한 의미에서 전실험설계는 실험설계를 통해 실험변수의 효과를 인과관계로 설명할 수 없게 된다.
전통적으로 대표적인 실험설계방법으로는 통제집단 사전 ․ 사후설계를 예로 들 수 있다. 통제집단 사전 ․ 사후설계는 무작위배정을 통해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을 구성하고, 사전조사와 사후조사를 통해 독립변수(실험변수)의 개입효과를 파악할 수 있다. 그러나 통제집단 사전 ․ 사후설계는 동일한 측정도구를 사전과 사후에 사용함으로써 내적타당도를 저해하는 검사요인을 발생시킨다. 이에 검사요인을 사전에 예방하기 위해 통제집단의 사전검사를 제외하는 통제집단 사후설계로 실험설계를 구성할 수 있다. 이와 함께 앞서 언급한 두 가지 실험설계 방법을 동시에 수행하는 솔로몬 4집단 설계가 있다. 솔로몬 4집단 설계는 각각 실험집단, 통제집단을 두 집단으로 하고 한 집단에서 사전 ․ 사후검사를 실시하고 나머지 두 집단에는 사전검사를 생략하여 이루어지는 설계다.
출처 : 해피캠퍼스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