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주 2강에서 학습한 건강가정의 개념을 정리해보면서, 가정의 건강성을 이야기할 때 그 형태가 아닌 기능이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건강가정의 개념
2. 건강가정의 기능을 강조하는 맥락
1) 문제해결
2) 의사소통
3) 가족의 역할
4) 정서적 반응성
5) 정서적 관여
6) 행동 통제
3. 가정의 건강성 측정을 위한 평가지표

Ⅲ. 결론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Ⅰ. 서론
현대사회에서는 가족과 관련된 다양한 변화들이 발생하고 있다. 특히, 가족의 기능이 사회로 전이되고 있는데 이는 개인주의 확산, 세대 간 부양의식 양화, 결혼을 연기하거나 포기, 이혼의 증가 등 가족해체 현상이 가속화 되기 시작하면서 자녀의 재생산과 가족돌봄 기능 등이 약화된 것이다. 이처럼 가족의 기능 상실 또는 약화 현상은 가족문제를 발생시키고 이혼율이 증가하면서 새로운 유형의 가족들도 증가하고 있는 상황이다.

<중 략>

3. 가정의 건강성 측정을 위한 평가지표
내가 가정의 건강성을 측정하기 위한 평가지표에 포함한다면 첫 번째로 의사소통을 포함시킬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의사소통이 어떻게 이루어지는지를 살펴보고 가족이 서로 의사소통을 얼마나 하는지, 의사소통으로 정서적 지지와 위로를 나누고 있는지, 의사소통으로 친밀한 관계를 형성하는지, 정보를 주고 받으며 문제 해결을 위한 의사 결정을 하는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여 이와 같은 의사소통이 이루어지는 건강가정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출처 : 해피캠퍼스

코멘트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