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폐성 장애의 조기 진단 필요성과 자폐성 장애의 진단절차를 설명하고, 자폐 진단이 지연되었을 때의 문제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자폐성 장애
1) 개념
2) 특성
2. 조기 진단 필요성
3. 진단 절차
4. 진단이 지연되었을 때의 문제점

Ⅲ. 결론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우리나라에서 21만 명이 넘는 고통받고 있지만 잘 알려지지 않은 장애가 있는데, 그건 바로 발달장애다. 발달장애는 지적장애와 자폐스펙트럼 장애를 함께 일컫는 말로, 타인과 의사소통이 어렵거나 문제 해결 능력 등 지적 능력이 부족한 장애를 함께 부르는 말이다 곽승철 외, 자폐성 장애아동 교육, 학지사, 2010.
.
발달장애는 다른 장애에 비해 발생하는 원인을 밝히기가 까다롭고 자녀가 장애를 겪는다는 사실을 주변에 알리거나 인정하기 어려운 문화 때문에 장애를 진단하거나 치료하는 시기가 매우 더딘 편이다. 실제로 환자 수도 등록된 것보다 훨씬 많을 것으로 추정된다.
장애 영유아의 조기발견은 발달단계에 적합한 중재가 가능하며, 장애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이차적인 문제를 예방할 수 있다는 긍정적인 측면이 존재한다. 따라서 각 장애 유형별로 조기 발이면 계획을 수립하고 그를 위한 홍보가 이루어져야 한다고 생각한다.

출처 : 해피캠퍼스

코멘트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