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서론
Ⅱ.본론
1.장애인 직업평가사
2.장애인 직업평가사의 역할
3.장애인 직업평가사에게 요구되는 지식과 기술
1)공단에서 요구하는 지식과 기술
2)한국직업재활학회에서 요구하는 지식과 기술
3)북미에서 요구되는 지식과 기술
4.직업평가사의 윤리
1)장애인재활상담사의 윤리강령
2)직업재활 유관 분야 윤리강령
3)직업평가 관련 전문가 윤리
4)현장에서의 직업평가 윤리 실천 방향
Ⅲ.결론
Ⅳ.참고문헌
본문내용
한국에서는 2000년 이후부터 직업훈련에 참가할 의지가 있거나 생산적인 일을 하고자 하는 장애인들에게 직업의 기회를 제공하는 추세가 생겨났다. 이러한 추세에 부합하기 위해서 국가와 지자체에서는 장애인들의 고용과 서비스를 지원해주고 있다. 내담자에게 필요한 서비스를 개발하고 제공하기 위해서는 직업재활 서비스가 전문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직업평가는 직업재활에 있어서 장애인들이 성공적인 고용을 성취할 수 있도록 돕는다. 최근에는 장애인의 고용 형태가 지역사회에 기반을 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적성평가와 배치를 위해서 직업평가사들의 수요가 점점 증가하고 있다. 직업평가사는 내담자들의 정보를 수집하고 현재의 능력을 측정하며 고용계획을 세운다. 직업평가사가 과거에 비해서 좀 더 포괄적인 영역으로 확대되고 있기 때문에 이제는 직업평가사의 역할이 장애인들의 고용에 더 중요해졌다. 이들이 효과적으로 자신의 분야에서 활동하기 위해서는 자신이 맡은 역할의 중요성을 인지해야 하며 윤리강령을 지키는 것이 필요하다.
출처 : 해피캠퍼스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