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학기 동안 ‘장애아동의 이해’ 교과목을 통해서 장애의 유형 및 지원 체계를 여러분들에게 소개하는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학습장애
1) 학습장애 특성
(1) 학업적 특성
(2) 인지적 특성
(3) 언어적 특성
2) 학습장애 아동에 대한 사회적, 제도적 지원 현황

Ⅲ. 결론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한 학기 동안 자폐성 장애, 정서행동장애, 지적장애, 지체장애, 학습장애에 대해 학습하였고, 이 중에서 가장 주목을 받지 못하는 장애이지만 아동의 성장과 발달에 치명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 학습장애에 대해 관심을 가지게 되었다. 학습장애의 정의는 1963년 kirk이가 소개하였으며, 학습에 어려움을 가지는 아동에게 자주 이용되는 용어이다. 학습장애는 이 장애가 가지는 본질을 인지해야 하지만, 원인이 불분명하고 매우 다양한 특성이 나타나므로, 본질을 증명하기 다소 애매하며, 진정한 정의와 의미를 내리기 불가능한 것으로 여겨져 왔다. 미국의 경우에 합의된 정의는 아직 없지만, 관련한 단체나 협회 등에서 여러 가지 정의를 제시하여 11가지 정의가 출연하였다. 특정학습장애는 쓰기와 읽기 언어에서 이용되거나 하나 혹은 하나 이상의 심리 장애가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장애로 인해 말하기와 생각하기, 듣기, 쓰기, 수학적 계산, 철자 등의 능력이 불완전하게 드러난다. 이 용어는 두뇌 손상, 지각장애, 난독증, 미세 두뇌 기능 장애, 발달적 실어증 조건을 포함하고 있다. 또한 이 용어는 운동장애, 청각, 시각, 정서장애, 정신지체, 경제적, 문화적, 환경적 불이익이 주요한 원인이 되는 학습 문제를 가진 아동은 포함하지 않는다.

출처 : 해피캠퍼스

코멘트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