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초등에서 도덕 교과의 의미와 필요성
2. 현재 초등에서 실시하는 시수가 적당한가
3. 앞으로 초등에서 도덕교과가 나아가야할 방향
4. 참고문헌
본문내용
1. 초등에서 도덕 교과의 의미와 필요성
아동기는 초등학교 시절인 만 6~11, 12세까지를 의미하며 이 시기 아동의 생활 중심은 가정에서 학교로 옮겨가며 학교에서 지식을 습득하고, 또래 관계와 선생님과의 관계 등 다양한 인간관계를 경험하게 된다. 이 시기 아동은 자아중심성에서 벗어나 객관적인 사고판단이 가능하며 학교생활을 통한 학습과정을 성실히 수행하면서 근면성과 사회성이 발달하게 된다.
규칙적이고 조직적인 생활을 경험하면서 아동은 사회인으로 지켜야 할 사회적 규범을 학습하고 또래 친구들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사회발달이 이루어지며 도덕성도 함께 발달하게 된다. 도덕적 성숙기에 도덕과목은 학교생활에 있어 또래관계의 유지와 단체생활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옳고 그름의 기준을 설정하는데 도움을 준다.
현재 아동은 기성세대가 아동이었을 때와는 매우 다른 환경 속에서 자라고 있다. 환경호르몬의 작용으로 초등학생 때 이미 성발달이 시작되며 여성 남성에 대해 알게 된다.
출처 : 해피캠퍼스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