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없음
본문내용
[호스피스 간호]
<죽음의 종류와 정의>
1. 임상적 죽음(clinical death)
● 심폐가능성 : 호흡, 뇌 활동 및 심장이 정지된 상태
2. 뇌의 죽음(brain death)
● 대뇌, 소뇌, 중뇌, 뇌간의 모든 활동이 불가역적으로 정지된 상태
구분
식물인간
뇌사
손상부위
대뇌
뇌 전체(뇌간 포함)
호흡
가능
불가능
순환
가능
불가능
운동
가능
불가능
예후
장기 생존 가능
사망
장기기증
불가능
가능
뇌 손상부위
대뇌 일부
대뇌 + 뇌간 손상
3. 생물학적 죽음(biological death)
● 임상적 죽음 후 필연적으로 나타나는 것
● 유기체의 와해
4. 사회적 죽음(social death)
● 식물인간 상태 : 무의식, 무반응 상태
● 능동적인 뇌파 활동과 약간의 정상반사가 나타남
● 대뇌피질 손상 : 뇌간 정상, 호흡과 소화 기능 등 정상
5. 종교적 죽음(theological death)
● 한 생명체의 모든 기능이 완전히 정지되어 원형대로 회복될 수 없는 상태
● 생명의 원천으로 귀의하는 것
<사전연명의료의향서>
1. 연명치료중단(Do-Not-Resuscitate:DNR)
● 연명치료를 중단하는 것
● 회복 불가능한 환자가 인간의 존엄성을 잃지 않고 죽음을 맞이할 수 있도록 불필요하거나, 과도한 치료를 중단하는 것 -연명치료 중지에 관한 지침 제정 특별위원회,2009-
4. 말기 환자의 연명의료에 대한 사전의료의향서
<임종환자의 신체적 변화>
● 사망 전 48시간의 환자관리 원칙
① 고통완화가 가장 중요하다.
② 불필요한 의학적 개입을 피한다.
③ 정기적으로 모든 투여약제와 증상을 평가한다.
④ 환자,가족과의 효과적인 의사소통을 유지한다.
⑤ 가족의 보살핌도 행한다.
출처 : 해피캠퍼스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