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부정확한 관찰
2/ 과도한 일반화
3/ 선별적인 관찰
4/ 꾸며진 지식
5/ 사후 발생적 가설(사후소급가설)
6/ 비논리적 추론
7/ 자아개입
8/ 탐구의 성급한 종료
9/ 신비화
10/ 참고문헌
본문내용
루빈과 바비(A. Rubin & E. R. Babbie, Research Methods for Social Work, 2004)는 비과학적 방식을 통해 지식을 습득할 경우 지식의 탐구과정에서 오류들이 다음과 같이 나타나기 쉽다.
1/ 부정확한 관찰
일상생활에서의 관찰은 자신의 관점에서 무의식적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부정확한 관찰이 되기 쉽다. 그러나 일상적인 관찰과 달리 과학적인 관찰은 의식적인 활동이며, 의도적으로 관찰하기 때문에 관찰에서 범하는 오류를 줄일 수 있다.
2/ 과도한 일반화
소수의 사례를 가지고 일반적인 사실로 받아들일 때의 오류를 말한다. 따라서 과학적인 연구에서는 충분한 표본을 사용함으로써 과도한 일반화를 예방한다.
출처 : 해피캠퍼스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