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질적연구 분석의 공통된 과정
(1) 전사과정
(2) 초기 분석틀의 설정
(3) 의미와 관계 찾기
2) 근거이론에서의 코딩-개방코딩, 축코딩, 선택코딩
3) 참고문헌
본문내용
질적연구 자료분석은 공통적으로 정형화된 분석 절차나 방법을 제시하기 어렵다. 이러한 특성으로 인해 질적연구에서 자료분석은 연구과정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 중의 하나이지만 가장 막연하고 진행하기 어려운 과정이기도 하다.
질적 연구에서의 자료분석은 질적자료를 통해 개념을 창출하고, 다양한 의미 단위를 생성하는 것에서부터 출발한다. 특히 의미단위를 생성하거나 범주를 구분할 때 연구자는 자신이 제기한 연구질문과 문제를 염두에 두면서 일관성 있게 분석을 진행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새롭게 생성된 의미단위들을 범주로 구분하거나 패턴을 개발하여 유형화하는 작업을 수행하는 과정은 공통적으로 진행된다. 이 과정에서 질적연구자는 연구참여자나 동료 연구자들과 연구결과를 확인하는 작업을 거쳐 연구의 신뢰성과 타당성을 확보할 수 있어야 한다. 또한 질적연구에서의 자료분석은 자료수집과정과 동시에 이루어지기 때문에 흔히 자료의 수집과 분석은 나선형으로 진행된다고 볼 수 있다.
1) 질적연구 분석의 공통된 과정
(1) 전사과정
전사과정은 주로 면접이나 심층면접을 통해 수집한 자료를 녹취록으로 전환하는 과정이다. 넓은 의미로 전사과정도 질적연구 자료분석의 과정이라고 볼 수 있으며, 가장 기초적인 분석단계에 속한다. 특히 질적 연구 자료분석의 전사과정은 본격적인 질적 연구 분석을 위한 아이디어들이 도출되며 자료와의 지속적인 상호작용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질적 연구 분석과정에서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2) 초기 분석틀의 설정
초기 분석틀을 설정하기 위해서는 녹취록 작성을 마친 후 자료분석을 위한 준비과정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녹취록을 사전에 전반적으로 검토하거나 자료수집과정에서 작성한 일지나 메모 등을 확인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우선 질적연구의 자료분석은 초기수준의 코딩(first level coding)을 거쳐 의미단위를 확인하고, 이를 통해 구성된 범주들을 만들어 간다. 특히 의미단위를 나눌 때에는 줄 단위나 문장단위로 분석하는 것이 모두 가능하다.
출처 : 해피캠퍼스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