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적 연구의 특성과 쟁점에 대해서 설명하시오

목차

1. 질적연구의 연구질문

2. 질적연구 자료수집
1) 질적연구 전통에 따른 자료수집방법 비교
2) 질적연구의 자료원
(1) 문서
(2) 기록물
(3) 면접
(4) 직접관찰
(5) 참여관찰
(6) 인공적 가공물
3) 삼각측정방법

3. 질적연구에서 표본추출 전략

4. 참고문헌

본문내용

1. 질적연구의 연구질문

질적연구에서 연구질문은 양적연구에서 얻고자 하는 연구내용과 차이점을 보인다. 특히 양적연구의 경우 연구자의 연구질문은 조작적 정의를 통해 측정이 이루어지고, 이를 통해 추상적인 개념은 측정 가능한 지수로 대체된다.
또한 연구자가 관심을 두고 있는 주요 개념들은 측정된 결과로 대체되며, 개념들의 추세변화나 변수(조작화된 개념)들 간의 인과관계나 경로분석을 통해 사회현상을 설명하려고 시도한다. 이에 비해 질적 연구에서 연구질문은 다양한 사회현상의 경험의 본질, 경험이 주는 의미, 경험의 과정 등으로 구성되는 경우가 많다.
또한 질적연구의 경우 연구전통에 따라 연구질문이 갖고 있는 문제제기가 각각 다르게 나타날 수 있으며, 연구질문을 통해 연구자가 제기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예를 들어, 생애사나 내러티브 연구에서는 개인의 서술적인 이야기가 주요 연구질문의 형태로 나타난다. 또한 현상학의 경우 연구질문은 특정 현상에 대한 개인들의 공통된 경험들이 주는 의미를 포함해야 할 것이다. 근거이론의 경우는 기존 이론이 부적절하거나 이론이 부재한 상황에서 특정 현상을 파악하기 위한 과정에 대한 내용이 연구질문의 형태로 제시될 필요가 있다.
마찬가지로 문화기술지의 경우 특정 집단의 문화적 행동을 기술하고 해석하는 것이 얼마나 중요한지 보여 주어야 하기 때문에 문화기술지 연구질문에는 특정 집단의 문화적 주제가 담겨 있어야할 것이다. 이러한 차이에도 불구하고 질적연구의 연구질문은 연구 전체를 대표할 수 있는 하나의 연구질문을 제시하고, 여러 개의 하위질문으로 정리할 수 있다(Creswell, 2007).

2. 질적연구 자료수집

1) 질적연구 전통에 따른 자료수집방법 비교

질적연구에서 자료수집은 정형화된 방법으로 제시되어 있지는 않다. 다만 연구전통과 연구질문에 따라 연구자는 자신의 연구질문을 풍부하게 수집할 수 있는 자료수집방법을 선택하게 된다.

출처 : 해피캠퍼스

코멘트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