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1) 사례선정이유
2) 질환에 대한 문헌고찰
3) 자료수집
2. 본론
1) 진단을 위한 검사 소견
2) 간호과정
3. 결론
4. 참고문헌
본문내용
가. 사례선정이유
심장질환 관련 병동이다 보니 CAG 시술환자를 많이 접하게 되는데, CAG 시술을 적용한 환자는 어떤 질병을 가지고 있는지 의문을 가지게 되었다. 급성 심근경색 환자의 EMR을 보며 어떤 검사와 치료를 시행하고, 그 후에 어떤 간호를 적용하는지에 대해 더 자세히 알아보고 싶어 선정하게 되었다.
나. 질환에 대한 문헌고찰
1) 정의
심장은 온몸에 혈액을 보내 산소와 영양소를 전달하는 펌프이다. 쉬지 않고 일을 하려면 심장근육도 혈액을 통해 산소와 영양소의 공급이 필요하다. 관상동맥은 심근에 혈액을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급성 심근경색증은 관상동맥이 갑작스럽게 완전히 막혀서 혈액이 통하지 않아 발생하는 질환이다. 심장에 혈액이 공급되지 않아 심장근육이 손상되면 심한 가슴통증, 호흡곤란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2) 원인 및 관련요인
급성 심근경색증은 동맥경화증이 주된 원인이다. 관상동맥의 동맥경화 부위가 혈관 내로 파열되면 혈전이 생기고, 혈전이 관상동맥을 완전히 막아서 혈액이 통하지 않게 된다.
<동맥경화증의 위험인자>
∙ 나이 : 남자≥45세, 여자≥55세
∙ 흡연
∙ 고혈압
∙ 당뇨
∙ 고지혈증
∙ 비만
∙ 가족력 : 부모, 형제, 자매 또는 자녀 중 한 명 이상이 남자는 55세 이전에 여성은 65세 이전에 관상동맥 질환을 진단받는 경우
3) 병태생리
급성 심근경색증의 주요 병태생리는 혈전 등에 의해 갑작스럽게 관상동맥 혈류 공급이 중단되어 발생하는 심근 허혈 및 경색이다. 질병 발생 초기에 재관류에 성공한다면 심근 괴사를 막을 수 있으나,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비가역적인 심근 괴사가 발생한다.
4) 증상 및 증후
흉통(가슴통증) 증상이 전형적으로 나타나지만 때로는 증상이 없을 수 있다. 주로 가슴 한가운데에 짓누르거나, 조이거나, 쥐어짜는 듯한 통증이 나타납니다. 이러한 통증은 30분 이상 지속
출처 : 해피캠퍼스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