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예비 유아 교사에게 자기 분석이란
Ⅱ. 나의 심리/성격적 특성
1. 내가 인식하고 있는 나의 심리/성격적 특성
2. 동료가 인식하고 있는 나의 심리/성격적 특성
Ⅲ. 심리검사를 통한 진단 및 분석
1. PTS 심리유형 탐색
2. 한국형 에니어그램(KEPTI) 성격 유형 검사
3. 학습양식 검사 – ILS (Felder & Soloman)
4. 학습양식 검사 – MSLQ (Pintrich & De Groot, 1990)
Ⅳ. 바람직한 유아 교사로 발전하기
1. 자기 객관화를 통해 알아보는 나의 장⋅단점
2. 장점 발전 및 단점 개선 방안
Ⅴ. 느낀점
VI. 참고문헌
본문내용
Ⅰ. 예비 유아 교사에게 자기 분석이란
현장에서 유아, 학부모, 교사 등 다양한 사람을 만나는 유아 교사에게 인간관계는 빼놓을 수 없는 문제이자 불가피한 요소이다. 예측하기 어려운 유아들을 지도함에 따른 긴장과 학부모와의 소통 문제, 동료 교사와의 교육관 차이 등은 유아 교사에게 있어서 우울, 불안과 같은 부정적인 정서를 초래하고 이는 교사의 삶 만족도뿐만 아니라 업무에도 영향을 미치게 된다. 이러한 반복적인 인간관계 스트레스 속에서 유아 교사가 바로 서기 위해서는 자신에 대한 명확한 이해가 필요하다.
자기 이해를 통해 스트레스를 효율적으로 해결하고, 자신에게 편안한 상황을 제공해 줌은 업무 효율성과 더불어 삶의 만족도도 높일 수 있다. 또한 유아기 발달과 교육의 중요성은 나날이 높아지고 있지만, 가족 구성원의 변화와 저출산 문제 등으로 인하여 가정에서의 유아에 대한 교육 기능은 약화되고, 교육기관에서의 유아 교육의 중요성과 기대는 높아지고 있다. 따라서 예비 유아 교사는 자기 분석을 통해 교사의 자질과 전문성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자신의 강점과 약점을 이해하고 성장하고자 하는 의지를 북돋울 수 있다. 본 보고서에서 나는 PTS와 한국형 에니어그램(KEPTI) 심리 도구를 통한 자기 분석을 통해 현재 모습을 객관화 및 분석하고 나아가 바람직한 인성을 갖춘 유아 교사로 성장하기 위해 자기 발전을 함양하는 방법을 탐색하고자 한다.
Ⅱ. ‘나’의 심리/성격적 특성
ⅰ. 내가 인식하고 있는 나의 심리/성격적 특성내가 인식하고 있는 나의 심리/성격적 특성을 크게 4가지 기준으로 정리해 보았다. 4가지 기준은 성격 유형(MBTI), 정서적 특성, 인간관계 스킬, 자기 인식과 성장으로 정해 보았다.
1. 성격 유형(MBTI)
성격 유형은 가장 대중적으로 알려진 MBTI로 생각해 보았다. 나는 평소 ENFJ와 ESTJ가 번갈아 나오는 편이다.
출처 : 해피캠퍼스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