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 론
Ⅱ. 본 론
1. 인물 분석
2. 시간적/ 공간적/ 계절적 배경
3. 작품 『금 따는 콩밭』분석
1) 해학성
2) 비극성
3) 향토성
Ⅲ. 결 론
본문내용
Ⅰ. 서 론
작가 ‘김유정’은 1930년대 한국의 대표적인 소설가 중 한 명이다. 특히 『봄봄』과 『동백꽃』, 『금 따는 콩밭』은 김유정의 대표작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 1935년 『소낙비』가 조선일보 신춘문예에 당선되어 등단하였다. 김유정은 왕성히 단편소설을 발표한 시기가 그가 사망하기 직전까지 겨우 2년에 불과했지만 30여 편의 작품을 남겼다.
김유정의 단편소설들은 우리 옛 사정이 그러하였듯 해학적이고 토속적이어서 예리한 현실비판 혹은 세련된 형식미는 존재하지 않는다. 하지만 그의 작품에 나오는 인물들과 줄거리를 음미해보면, 질박하고 잔잔한 어조로 언제나 낙천적인 웃음이 끊이지 않는 ‘조선 백성’의 삶을 들여다볼 수 있다.
김유정의 고향 인근에서 사금터가 벌어진 적이 있고, 그는 매형의 권유로 한때 충청도 예산에 내려가 금광의 현장감독을 지낸 적도 있다. 『금 따는 콩밭』은 당대의 ‘골드러시’를 직접 체험한 후의 결과물일 것이다. 주인공 영식과 같은 농민들이 소작으로 갈아먹는 콩밭을 포기하고 금을 찾으려던 것은, 결국 농사를 지어봤자 빚이 되어버린 비료값과 품삯도 나오지 않는 허사가 분명했기 때문이다.
Ⅱ. 본 론
1. 인물 분석
주인공 ‘영식’은 금광에 흥미가 없던 순박한 농민이지만 매우 얇은 팔랑귀를 소유하고 있다. 그렇기에 금광을 찾자는 친구 수재의 꼬드김과 아내의 부추김에 넘어가 일확천금에 대한 욕망에 눈이 멀어 기껏 일궈 왔던 콩밭을 망치게 된다. 이후에는 자신의 아내에게 분풀이로 손찌검을 하고 폭력을 행사하는 등 시나브로 타락해가는 모습을 보인다.
출처 : 해피캠퍼스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