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평가) ➀관찰법의 개념, 관찰기록방법, 진행절차를 간단히 기술하고(10점)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아동평가방법(공통형)
1) 관찰법
(1) 개념
(2) 관찰기록방법 및 진행절차
(3) 관찰기록 방법 중 1가지 선택 – 일화기록법
① 선택한 이유
② 교육현장이나 생활현장에서 실시한 기록과 그에 따른 결과 기술
2. 포트폴리오 평가(지정형)

Ⅲ. 결론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2019 개정 누리과정은 유아의 발달 및 학습, 배움을 위한 평가에 대한 관심도 가 높다(나귀옥, 김경희 2012;, 이진희, 2020). 놀면서 스스로 배워나갈 수 있도록 활동을 제공하고 유아의 놀이를 들여다 볼 수 있는 교사가 되어주어야 한다. 교사는 유아를 세심하게 관찰하면서 관심 있어 하는 놀이를 따라가며, 이해하고, 지원하면서 이를 바탕으로 교육과정을 재구성해 나가야 한다(이순복, 2021). 유아교육에서의 평가는 교육과정 운영계획에 따라 교육활동을 전개하면서 교육활동 전, 교육활동 과정 중, 그리고 교육활동 후에 나타나는 유아들의 발달상황에 대한 평가를 말한다(이기숙, 1998).
유아평가를 “유아에게 영향을 미치는 교육적인 결정을 위한 기초로 유아가 어떻게 무엇을 하는지를 관찰, 녹음, 기록하는 과정”으로 정의한다(황해익, 2000). 평가를 통해 유아가 알고 있는 것, 모르는 것, 할 수 있는 것과 없는 것, 학습경험의 결과라고 할 수 있는 것에 대한 측정이라 할 수 있겠다. 학습자의 성장과 발달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올바른 정보를 제공해 주는데 있다(황해익, 2000).
교육현장에서는 교사는 평가에 대한 지식과 경험을 많이 갖출수록 유아에 대한 주요 의사결정에 더 많은 도움을 받을 수 있다(이은해, 1995). 평가는 명확하고 분명한 목적과 목표에 맞춰 수행되어져야 하며 객관적이고 종합적인관찰을 사용하며 판단의 표준과 규준에 근거하여 수행되어져야 한다(Beane, Toepfer, Alessi, 1986). 교사에 의한 비형식적 평가방법 관찰도 있고, 유아의 작업 표본 수집을 통한 분석, 유아의 행동에 대한 형식적 평가가 이루어지고 있다.

출처 : 해피캠퍼스

코멘트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