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안전사고
1) 영유아 안전사고
(1) 시대에 따라 아이들을 위협하는 안전사고
2) 안전사고 예방을 위한 조치
Ⅲ. 결론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안전은 정신적 위험의 가능성을 업게 하고 사고유발의 동기를 제거할 목적으로 이성이념 및 물리적 환경의 설계에서 발생한 상태라고 정의한다(주낙서, 1987). 안전은 뜻하지 않는 사고로부터 정신적, 신체적 손상을 없애고 신체를 편안하게 하는 상태라고 정의하고 있다(한광석, 1988;9). 안전은 인간을 평온하게 만들어 주고 있으므로 영유아기에 안전상태를 확인해 주어야 한다. 주변에 발생되는 어린이 안전사고는 영유아의 발달특성에 따라 사고가 이루어지고 있다. 아동은 주변의 사물이나 환경에 대한 호기심이 많고 탐구하려는 충동이 강해서 더욱 안전사고로부터 노출되어 있을 수밖에 없다. 그래서 영유아들에게 안전한 환경을 제공하고 적절한 관리감독과 발달특성에 맞는 안전교육을 시행해야 한다(조경자 외. 1998).
영유아기의 사고는 줄었다고 하지만 안전사고는 언제 어디서 누구에게나 있을 수 있는 일이기 때문에 늘 조심해야 한다. 교사는 여러 명의 아동을 돌보면서 유독 문제를 일으키는 유아가 있다거나 늘 다치거나 피해를 입는 아이들이 있다면 그 아이에게 시선이 갈 수밖에 없다. 그런데 그러는 사이 잠깐 다른 아이에게 집중하는 사이에 또 다른 아이들에게 안전사고가 일어날 수 있게 된다. 어린이 안전사고는 어디서 발생할지 예측할 수 없다는 것이다.
출처 : 해피캠퍼스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