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건강과 영양 사구체신염 환자 식단 보고서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사구체신염의 정의
2. 사구체신염의 원인
3. 사구체신염의 증상
4. 진단 및 검사
5. 사구체신염의 문제
6. 사구체신염의 치료
7. 식사요법
8. 생활수칙

Ⅲ. 결론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Ⅰ. 서론
사람의 신장에는 둥근 모양의 핏줄 꽈리인 사구체가 있다. 사구체는 각 신장당 80만~100만 개의 구조물로 되어 있으며, 혈액을 걸러서 수분과 노폐물을 제거하는 역할을 한다. 이 사구체에 생기는 질환을 ‘사구체신염’이라 한다. 사구체신염은 종류가 다양하며, 그에 따른 증상도 다양하게 나타난다. 갑작스럽게 발병하여 빠르게 나타나는 급성 사구체신염과 서서히 진행되는 만성 사구체신염으로 나눠볼 수 있다. 급성 사구체신염은 주로 피로, 쇠약, 열 등이 가장 흔한 초기 증상이며, 단백뇨나 혈뇨의 증상이 나타나고 악화되면 신장 기능이 떨어지는 신부전이 생긴다. 반면 만성 사구체신염은 대개 경미하거나 미묘한 증상만 유발하여 발견하기 어렵다. 다른 질환을 동반하는 사구체신염을 예방하는 방법은 없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 조기 발견하여 치료를 하는 것이 중요하다. 따라서 사구체신염의 정의, 원인, 증상, 진단 및 검사, 치료 등에 대해 알아보고 그에 따른 식사요법과 생활수칙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고자 한다.

Ⅱ. 본론
ⅰ. 사구체신염의 정의
사구체신염(glomerulonephritis)은 신장의 사구체나 작은 혈관들의 염증을 특징으로 갖는 일차성 또는 이차성의 면역매개성 콩팥 질환이다. 혈뇨나 단백뇨만의 증상을 나타내거나 신증후군, 신염증후군, 급성신장부전, 만성신장부전 등의 형태로 발현될 수 있다. 이러한 발현양상들은 크게 비증식성과 증식성으로 나눌 수 있다.
비증식성 형태는 사구체 내 과세포성소견을 보이지 않는 것이 특징이며 신장증후군을 야기한다.
증식성 형태는 사구체 내의 세포 수 증가가 특징이며 신장 염증후군의 형태로 나타나 유형에 따라 몇 주에서 몇 년에 걸쳐 말기신장 부전으로 이행하는 양상을 보인다. 사구체신염은 급성과 만성으로 진행될 수 있으며 급성 사구체신염을 앓고 있는 아동 1%와 성인 10%는 사구체 대부분이 파괴되어 신부전으로 진행된다.

출처 : 해피캠퍼스

코멘트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