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각탐색 과제를 통해 본 주의의 용량과 수반자극효과의 상호작용(논문형식)

목차

1. 서론
2. 방법
3. 결과
4. 논의
5. 참고문헌

본문내용

초록
본 실험은 과제의 난이도에 따라 시각탐색과제를 실시함으로써 시각정보처리의 용량제한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또한 수반자극효과와의 상호작용 여부도 함께 알아보았다. 과제가 쉬울 경우 방해자극의 영향을 받아 일치효과가 일어나지만 과제가 어려울 때는 주의의 용량을 초과하여 방해자극의 영향을 받지 않을 것이라 가설을 세웠다. 실험과정은 목표자극과 반응자극으로 직사각형, 마름모꼴과 같은 도형을 주고 두 자극간의 일치 여부를 판단하게 하고 반응시간을 측정하였다. 과제의 난이도는 반응자극의 개수로 조절하였으며 반응자극의 옆에 방해자극이 제시되었다. 실험결과는 과제의 난이도와는 상관없이 방해자극의 영향을 받아 일치효과와 반응경합이 일어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주의의 용량할당에 대해 다양한 시사점을 제공하는 결과이다.

주요어 : 일치효과, 반응간섭, 주의용량, 용량설, 용량제한, 작업기억

서론

책에 있는 문장, 그림, 얼굴, 여러 사람들이 말하는 소리, 오가는 차들 등 우리는 이처럼 수많은 정보에 둘러 싸여 있다. 이러한 정보들은 대부분 동시에 우리의 감각기관들에 주어지며 어느 한 상황에서 적절한 행동을 하기 위해 한 물체나 대상을 택해야 한다. (이정모 외, 2003, 111p). 기본적으로, 사람들은 덜 중요한 것을 희생해 가면서 더 중요한 것을 처리한다. 우리는 중요한 일에 주의(attention)를 기울이며 중요하지 않은 것들에 주의가 가는 것을 억제 할 수 있다.
한꺼번에 여러 가지 일을 하는 것이 어려운 이유는 인간의 정신적 자원에는 한계가 있기 때문이다. 예컨대, tv를 보면서 동시에 공부를 할 수 는 없으며 운전을 하면서 동시에 전화를 받으면 두 가지 일 모두를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없게 된다. Kahneman의 저서 Attention and Effort(1973)는 연구자들의 관심을 용량이론으로 주목시키는데 일조 하였다. 용량이론은 심리적 작업을 위한 최대 능력(즉, 용량)이 제한되어 있다는 것이다(박권생 역, 2000, 74p).

출처 : 해피캠퍼스

코멘트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