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발달에 영향을 주는 유전과 환경의 상호작용을 설명하는 견해를 제시하시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유전과 환경의 상호작용에 관한 모델
1) 반응범위모델
2) 유전-환경 상관모델
3) 수로화모델
2. 지능에 영향을 주는 유전과 환경에 대한 견해

Ⅲ. 결론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인간의 발달과 관련하여 가장 큰 논쟁 중 하나는 선천론과 후천론 또는 유전과 환경과 관련을 가진다 유전론은 발달의 기제에 대해 본성, 성숙, 생득으로 보며 환경론은 양육과 학습, 경험으로 보고 있다. 유전론자들은 인간의 발달에 대해 유전으로 결정이 이루어진다고 보았는데 이는 발달에서 유전이 중요하며 직접적 요인이자 정해진 순서에 의해 인간 발달이 이루어지게 된다고 가정하는 것이다. 성숙론 개념은 17세기 후반에 등장하였는데 후반 루소는 발달적 변화가 유전적으로 이미 결정된 단계로 일어나게 된다는 사실을 제시하여 유전 또는 생물학적 요인이 발달 변화의 본질, 과정에 영향을 준다는 성숙론의 이론적 근거를 마련했다. 이후 다윈은 성숙론적 개념을 설명하여 인류의 많은 행동은 유전에 의한 영향이라고 주장하였다. 또한 게젤은 태내에서 태아의 기관 또는 조직이 유전적 계획으로 발달하는 것처럼 유전적 물질은 인간 생의 전반에 발달 과정에서 계속적인 영향을 주게 된다고 하였다. 반면 환경론에서는 발달적 변화를 학습과 훈련 경험의 결과라고 하였는데 초기 환경론자인 로크는 출생 시 인간이 텅 빈 백지상태이며 개인의 인성과 개성, 행동 특성이 경험으로 학습된다고 하였다. 이후 다양한 학습이론가들이 인간 발달에 관련된 견해를 적용하기도 하였다.

출처 : 해피캠퍼스

코멘트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