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시각장애
1) 시각장애의 정의
2) 시각장애의 진단 및 평가방법
3) 원인 및 출 현율
4) 시각장애의 특성
5) 시각장애의 교육적 접근 방법
Ⅲ. 결론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대부분 사림들이 시각장애인이라 하면 완전히 앞이 안 보이는 전맹을 생각하게 된다. 그런데 잔존시력을 가지고 시각장애를 가진 경우들이 많고 꼭 점자만을 이용하지는 않다. 녹음된 글이나 확대문자, 큰 글씨로 된 책이나 인쇄물을 보기도 한다. 우리 주변에 시각장애인은 안내 견을 데리고 다니는데 안내 견에게도 예절이 필요하다. 안내 견은 시각장애인의 안전한 보행을 돕기 때문에 허락 없이 만지거나 하네스를 착용하며 시각장애인과 보행 시 간식을 줘서는 안 된다. 시각장애인은 시각손상이란 특성으로 인해 타인의 도움이 필요한 것으로 확인되었다(보건복지부 장애인 실태조사, 2017b). 그렇지만 시각장애인에게 다가갈 때 도움을 주기 전 소리로 알려주면서 시각장애인의 어려움을 공감해주는 태도를 가지도록 한다.
우리 사회는 시각장애인을 위한 활동지원서비스가 지원되고 있으며 시각장애인이 정보 접근 시 대독이나 대필 등의 지원을 수행하고 있다. 우리 사회는 시각장애인은 앞이 보이지 않아서 불편하다고 어떤 일 수행에 있어 하지 못할 것이라는 편견이 많다. 이러한 편견보다는 “그래 한번 해보자, 누구보다 더 늦을 수도 있겠지만 못할 것 없다”라는 인식으로 성취하는 경험을 늘려주면서 자신감을 키워줄 수 있는 교육이 필요하다.
출처 : 해피캠퍼스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