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
1) 연구의 배경
2) 연구의 필요성
2. 연구 목표 및 연구 가치
1) 연구의 목표 및 질문
2) 연구의 가치
3. 연구한계 및 제한점
4. 연구 설계 및 방법론
5. 연구일정
1) 1단계 : (3~5일 소요) 논문계획서 제출
2) 2단계 : (3~5일 소요) 선행연구 검토 및 모델 도출
3) 3단계 : (5~10일 소요) 연구대상 선정 및 사례 분석
4) 4단계 : (2~3일 소요) 결과의 확인 및 시사점 도출
본문내용
1) 연구의 배경
메타버스(Metaverse)는 물리적 세계의 확장선상에 놓여 있는 동시에 물리적 세계를 대체할 수 있을 정도로 그 사회적, 경제적, 문화적 기능 등이 고도화되어 있는 디지털 세계를 의미한다.
메타버스는 4차 산업 혁명의 신기술 중 하나로 꼽히고 있으며, 특히 코로나 19의 유행으로 “언택트 라이프(Untact-life)”, 즉 타인과의 대면 접촉을 최소화하고자 하는 라이프스타일이 요구되면서 급속도로 발전하기도 하였다.
현재에는 코로나19의 전염세가 주춤하면서 사회적 거리두기가 해지되고 학교에서 대면 수업을 실시하는 등으로 이전의 일상으로 돌아가는 움직임이 보여지고 있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특히 MZ 세대를 중심으로 하여 다양한 메타버스 플랫폼이 활발하게 이용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이러한 상황을 배경으로 하여, 메타버스의 문화예술교육적 적용 가능성에 관심을 갖고 살펴보고자 한다.
출처 : 해피캠퍼스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