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2. 문헌고찰
Ⅱ. 본론
1. 환자소개, 진단검사, 투약, 치료 및 처치
2. 간호진단
3. 간호과정
Ⅲ. 결론
1. 대상자의 간호과정과 관련된 재평가 및 재계획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 연구의 필요성 ]
우리나라의 출생아 수는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기 때문에 심각한 저출산 시대이다. 저출산 시대가 지속된다면 국가의 성장 동력이 저하될 것이다.
우리나라의 2022년 출생아 수는 24만 9천 명으로 2021년 대비 1만 1천 5백 명(-4.4%) 감소하였다. 출산율이 낮은 만큼 사람들의 관심도 적은 편이다.
따라서 출산율에 대해 관심을 가져야 할 필요가 있다.
또한 로즈마리병원 신생아실에는 고위험신생아, 미숙아가 아닌 정상 신생아들이 많다. 신생아들의 대부분은 정상 신생아이기 때문에 정상 신생아의 간호에 대해 알아보기 위함이다.
[ 문헌고찰 ]
1. 정상 신생아 특징 (신체사정)
① 신체 측정
– 머리 둘레 : 33 ~35cm
– 머리 엉덩이 길이 : 31~35cm
– 머리발꿈치 길이 : 48~53cm
– 출생 체중 : 2,700~4,000g
② 활력징후
– 체온 : 36.5~37C(액와)
– 심박수 : 120~160(심첨맥박)
– 호흡수 : 30~60회/분
– 혈압 : 65/41mmHg(상, 하지)
③ 전반적인 외양
자세 : 머리와 사지를 굴곡시켜 가슴과 배 위에 위치
④피부
– 출생 시 붉은색
– 통통하고 매끄러움
– 말단청색증 : 손과 발의 청색증
– 대리석피부증 : 냉기에 노출될 때 일시적인 얼룩 반점
⑤ 머리
– 대천문 : 다이아몬드 모양, 4~5cm
– 소천문 : 삼각형 모양 0.5 ~ 1cm
⑥ 눈
– 보통 안검 부종
– 동공반사, 눈깜박반사, 각막반사
⑦ 목
– 주름으로 둘러싸여 있으며 짧고 두껍다.
– 긴장성 경반사
⑧ 가슴
– 흡기 시 흉부 함몰
– 전후경 = 좌우경
⑨ 복부
– 원통형 모양
– 간 : 오른쪽 늑골연 2~3cm 아래에서 촉진
– 비장 : 왼쪽 늑골하에서 끝부분 촉진
– 신장 : 배꼽 1~2cm 위에 촉진
⑩ 신경계
– 사지는 항상 굴곡 유지
– 엎드렸을 때 등과 수평으로 머리를 들 수 있다.
– 눕힌 상태에서 앉힐 때에는 머리가 뒤로 쳐진다. 순간적으로 머리를 세울 수 있다.
출처 : 해피캠퍼스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