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실험이론
2. 예비실험
3. 예비보고서 결과
본문내용
⦁전력 증폭기 : 스피커를 통해 소리로 변환시키기 위한 전기에너지를 증폭하는 회로
1. 전력 증폭기의 개요
– 부하에 요구되는 전력을 공급
– 진폭이 큰 신호 증폭
– 선형성 중요 = 소신호 증폭기와 다른 바이어스 방법 적용
– 주요 고려사항 = 전력효율, 정격출력, 발열
⚫소신호(small-signal) 증폭기
– 동작점을 중심으로 진폭이 작게 변하는 신호(수 ~ 수백 mV)를 증폭함
– 트랜지스터의 선형 동작영역 중앙 근처에 동작점을 설정함
– 입-출력 신호의 선형성(linearity)이 중요함
⚫대신호(large-signal) 증폭기
– 진폭이 큰 신호를 증폭함
– 트랜지스터의 비선형 특성에 의해 증폭기 출력이 왜곡될 수 있으므로, 큰 동적 범
위(dynamic range)에서 선형성이 유지될 수 있도록 소신호 증폭기와는 다른 바이
어스 방법이 필요함
– 전력변환 효율, 정격전력, 안전동작 영역, 전력소비에 의한 발열문제 등이 중요함
2. 증폭기 분류
– A, B, AB, C급 = 트랜지스터의 동작점(바이어스 전압전류)에 따라 구분
– A급 = 선형성이 높고 효율은 낮다. 바이어스 점 = 선형영역중심
– B 급: 상보(push-pull)형으로 구성, A급 보다 효율이 높다, 바이어스 점 = 컬렉터 전류가 0인 점
– AB급: Push-pull 증폭기의 VBE 전압강하에 의한 왜곡 감소, 효율 A급과 B급 사이, 바이어스 점 = 컬렉터 전류가 약간 양의 값
– C급: 바이어스 점 = 컬렉터 전류가 음의 값, 효율이 A, B, AB급보다 높다.
출처 : 해피캠퍼스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