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서론
Ⅰ. 사례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Ⅱ. 문헌고찰
■ 본론
Ⅰ. 간호력
Ⅱ. 임상검사 및 진단검사
Ⅲ. 수술과정
Ⅳ. 투약
Ⅴ. 간호과정 [진단]
■ 결론
Ⅰ. 참고 자료
Ⅱ. 소감
본문내용
Ⅰ. 사례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자궁선근증은 자궁내막 조직이 자궁 근육층 내로 침윤한 상태로 40~49세 가임기 후반과 폐경 전후의 중년여성에게 호발하는데 우리나라 40대 이상 여성 3~4명 중 1명이 자궁선근증을 앓고 있을 정도로 비교적 흔한 부인과 질환이다. 또한 단독으로 존재하는 경우는 드물며 대개 자궁근종 및 자궁내막증과 같은 기타 부인과 질환이 동반되는데 실제 이번 순천향대학교 천안병원 수술실에서 모성간호학 실습을 하며 하루에 1건 이상의 수술이 있을 정도로 자주 관찰할 수 있었고 자궁근종과 같은 기타 부인과 환자들의 대부분에서 부진단명으로 찾아볼 수 있었다.
따라서 이번 사례연구를 통하여 여성 대상자의 다빈도 건강문제인 자궁선근증에 대한 지식을 배양하고 비록 수술실이라는 제한적 환경이지만 전자의무기록 및 기타 방법을 통하여 대상자의 건강문제를 사정하며 이를 근거로 대상자에게서 나타나는 현재 건강문제와 잠재적 건강문제에 대한 간호진단을 도출함으로서 여성 대상자의 건강 회복에 도움을 줄 수 있는 간호사가 되고자 이번 사례연구를 진행하였다.
Ⅱ. 문헌 고찰
▶ 자궁선근증의 정의 (Definition Of Adenomyosis)
자궁선근증이란 자궁의 내막조직이 자궁의근육층 안으로 침투하는 질환으로 자궁내막선과 간질이 자궁근층 내에 비정상적으로 존재하면서 자궁근층의 성장을 촉진하여 자궁벽이 두꺼워지고 결과적으로 자궁이 커지게 된다.
▶ 자궁선근증의 원인 (Cause Of Adenomyosis)
자궁선근증이 발생하는 원인으로는 조직형성설, 감염설, 임신설, 에스트로겐 과잉설 등이 있는데 현재까지도 명백하게 밝혀지지 않고있다. 이 중 가장 널리 받아들여지고 있는 Meyer의 조직형성설은 자궁내막과 근조직 사이 장벽의 손상으로 내막이 근조직에 침윤되어 발생한다는 가설로 연령, 다산, 손상, 에스트로겐, 유전, 바이러스 등이 관여한다고 보고 있다.
출처 : 해피캠퍼스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