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없음
본문내용
1. 불완전 경쟁의 기초적 이해
① 독점
– MR=MC에서 생산량이 결정되고, 가격은 시장수요곡선 상에서 결정된다.
② 복점
– 시장에 2개의 기업이 존재하고 두 기업 모두 같은 가격을 설정할 때, 각 기업은 D/2의 수요곡선에 직면함
– P1에서 산업의 전체 생산은 점 A의 Q1이되고, 각 기업은 점 B에서 각 Q2=Q1/2 만큼 생산
– 두 기업이 동질적인 상품을 생산하고 한 기업이 그 가격을 P2로 낮춘다면, D에 직면할 것이고, 점 C의 Q3만큼을 판매한다. (소비자들이 모두 가격을 낮춘 기업의 상품만을 구매함)
– 만약 두 기업이 차별적 상품을 생산한다면, 경쟁 기업의 전체가 아닌 일부 수요만 차지할 것이다.
– 이에 따라 이 기업은 수요곡선 d에 직면하여 P2의 가격에서 점 C’의 Q4만큼 판매할 것이다.
– 수요곡선 d는 다른 기업이 가격을 P1으로 유지하고 있을 때, 가격을 P2로 인하시킨 기업의 수요곡선을 의미한다. d는 D/2에 비해 탄력적인데, 이는 두 기업이 동시에 가격을 인하하는 경우보다 한 기업이 가격을 인하할 때 그에 따르는 수요의 증가가 더 많음을 의미한다.
– 가격이 하락하면 시장 전체의 수요량도 증가하며, 수요 일부를 뺏어오기 때문이다.
– d는 경쟁 기업이 많이질수록 완만해진다.
③ 독점적 경쟁시장
가정1: 각 기업은 해당 산업의 다른 기업들이 생산하는 재화와 유사하지만, 차별화된 재화를 생산한다.
– 각 기업은 우하향하는 수요곡선에 직면한다.
가정2: 시장에는 많은 수의 기업이 존재한다.
– 기업 수가 N이라면, D/N은 모든 기업이 같은 가격을 설정할 때, 하나의 기업이 직면하는 수요곡선
– 오직 하나의 기업만이 가격을 인하하게 된다면, 그 기업은 보다 평평한 수요곡선 d를 가짐.
가정3: 기업들은 규모수익 체증의 기술을 사용하여 생산한다.
– 규모수익체증이란 생산량이 증가함에 따라 AC가 감소한다는 것.
– 생산량이 증가함에 따라 AC가 감소한다는 것은 MC가 반드시 AC보다 낮다는 것.
출처 : 해피캠퍼스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