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피터스의 교육의 정의
2. 교육목적론
3. 방과후 학교
4. 뒤르껨
5. 평생교육
6. 평생학습사회
7. 학교선택권과 대안교육
8. 페다고지와 안드라고지
9. 홈스쿨링 운동
10. 듀이
11. 항존주의
12. 공교육제도
본문내용
1. 피터스의 교육의 정의
1) 교육의 정의
① 미성숙한 아동을 다음으로 입문시키는 것(문명화된 삶의 형식, 인간다운 삶, 분화된 사고, 지식의 형식, 교과, 공적유산)
② 준거를 갖추고 있음
③ 성년식
2) 강령적 정의
– 순수한 내적가치를 지닌 지식의 형식 또는 자유교육을 강조하는 강령적 방식임.
3) 교육의 준거(규범, 인지, 과정)
※ 준거 = 특징, 요소
① 규범 : 가치, 헌신
cf) 훈련 : 가치중립
교도 : 비정상인을 위해서 실시함
② 인지 : 지식, 이해, 안목, 지식의 형식
cf) 훈련 : 지식과 이해 X
③ 과정 : 의식, 자발성, 도덕적 방법, 의도적
cf) 교화 : 비의식적
4) 지식의 형식
① 전통적 형식적 교과 : 수학, 논리학, 자연과학, 윤리학, 심미적 경험, 종교적 주장, 역사학, 사회과학
② 자유교양교과
③ 실용적 가치보다 내적 가치가 강한 지식
④ 논리적 구조와 안목을 지니고 있음
2. 교육목적론
1) 내재적 목적
① 교육의 활동 그 자체가 가지고 있는 목적
② 합리성의 발달, 지식의 형식 추구, 자율성 신장, 전인적 인격형성, 자아 실현
③ 교육이 개인적 기능과 밀접한 관계가 있음.
2) 외재적 목적
① 교육이 다른 활동의 목적을 위한 수단으로 사용되는 것
② 경제성장, 사회통합, 직업준비, 생계유지, 출세
출처 : 해피캠퍼스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