척도의 수준과 종류에 대해 나열하고, 척도별 장단점을 설명하시오

목차

1) 평정척도
(1) 도표식 평정척도
(2) 범주식 평정척도
(3) 숫자-언어식 평정척도
(4) 평점방식 평정척도

2) 총화평정척도

3) 리커트 척도
(1) 리커트 척도의 구성절차
(2) 리커트 척도의 장단점
(3) 리커트 척도의 함정

4) 거트만 척도
(1) 거트만 척도의 구성절차
(2) 거트만 척도의 장단점

5) 사회적 거치척도

6) 써스톤 척도

7) 어의적 분화척도

* 참고문헌

본문내용

척도(scale)란 측정도구이다. 척도는 어려운 개념을 논리적 또는 경험적으로 측정하기 위한 과학적 조사도구를 이용하여 서로 연관된 여러 개의 문항들로 이루어진 결과로부터 하나의 종합적 개념을 얻기 위한 것이다. 즉, 척도는 연구하는 데 있어 의사결정 시에 큰 지침이 되는 안내자의 역할을 한다.
예를 들면, 자연과학에서는 측정대상이 주로 물질적이기 때문에 척도는 온도계, 체중계, 자, 저울 등이지만, 사회과학에서는 측정대상이 주로 비물질적이기 때문에 주로 논의되는 척도는 특정변수에 대해 종합적으로 측정하기 위해 논리적이고 경험적으로 연관된 하나 또는 다수의 문항들로 구성되어 있다.
척도를 사용할 때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충분한 검증을 통한 다양하고 복잡한 개념을 충분히 반영할 수 있는 여러 문항므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타당도를 높일 수 있으며 오차 또한 줄일 수 있다.
둘째, 하나의 개념에 대해 반복적 주제를 다루기 때문에 측정결과에 대한 신뢰도를 높일 수 있다.
셋째, 변수들은 단순화시켜 양적으로 측정 가능하도록 하였기 때문에 조사자의 편견이 배제되어 객관성과 정확성을 추구할 수 있다는 점에서 상당히 효율적으로 사용된다.
넷째, 복수의 자료로 구성된 척도를 사용하면 단일문항(지표)을 사용하는 경우보다 측정의 오류를 줄일 수 있고, 측정의 타당성과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이와 같은 척도를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사항에도 유의할 필요가 있다.
첫째, 모집단 크기와 성격에 알맞은 표본을 추출해야 한다. 즉, 문항이 연구하고자 하는 개념들을 반영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야 한다.
둘째, 종합적인 하나의 개념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각 문항들이 동일한 차원으로 구성되어야 한다.

출처 : 해피캠퍼스

코멘트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