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I. 서론
II. 본론
1. 우리 시대의 청년 빈곤
2. 청년 빈곤의 대안
III. 결론
IV. 참고문헌
본문내용
I. 서론
본인이 선택한 책은 조문영 등(2021)이 저술한 <문턱의 청년들(책과함께 펴냄)>로, 오늘날 주요 경제활동 세대로 부상하고 있으며 한국 사회의 다음을 이어나갈 청년 세대에 대한 관심으로 선택하게 된 책이다.
이 책은 청년 세대들이 신자유주의적 경제 패러다임에 마주하여 겪고 있는 경제적, 사회적 및 정서적 불안정성을 다루고 있는데, 특히 논의를 한국에만 국한하여 다루지 않고 동아시아 거대국가이자 차세대 패권국가로 여겨지고 있는 중국의 청년들을 함께 다루고 있다는 점이 흥미롭다.
즉 “한국과 중국, 마주침의 현장”이라는 부제에서 미루어 짐작할 수 있듯 신자유주의적 경쟁과 불안정성은 비단 한국의 청년만을 위협하는 것이 아니며, 중국의 청년들 역시 한국의 청년들이 겪고 있는 문제와 상당히 유사한 어려움을 겪고 있다는 점을 지적한다..
따라서 청년 빈곤이란 국지적인 문제라기보다는 오늘날 경제 체제 하에서 전세계가 함께 겪고 있는 동시대적 문제이며, 한국과 중국 청년들이 오늘날 경험하고 있는 위험 신호를 포착하고 이에 대한 대안을 사회가 함께 고민해야 한다는 것을 <문턱의 청년들>을 통해 미루어 짐작할 수 있다.
아래 본론에서는 <문턱의 청년들>이 제시하는 청년 빈곤에 대해 보다 자세히 살펴보고자 한다. 우선 우리 시대의 청년 빈곤에 대해 어떻게 묘사할 수 있을지를 제시하고자 하며, 이러한 문제의 대안에 대한 소견까지 더불어 제시할 수 있도록 하겠다.
II. 본론
1. 우리 시대의 청년 빈곤
1) 한국사회의 청년 빈곤 실태
오늘날 한국 사회의 청년들은 높은 실업률과 안정되지 못한 고용 환경에 노출되어 있으며, 특히 “고용 불안정계층”이라 불리는 “프리케리아트(Precariat)” 계층을 형성하고 있는 것으로 여겨진다.
이는 한국 사회가 과거 높은 경제성장을 거듭하다가 오늘날 그러한 성장이 정체된 상황이 주요한 원인으로 작용한다.
출처 : 해피캠퍼스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