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2. 본론
1) 구상무역 종류
2) 구상무역 사례와 기업의 구상무역 추구 이유
3. 결론
본문내용
무역의 종류 중 구상무역은 환거래가 발생하고 대응수입의무에 대해 제 3국에 전가할 수 있는 거래를 뜻하는 말로써 원칙적으로 수출과 수입거래에 대한 하나의 계약서를 작성하고 통상적으로 특수신용장을 통해 환거래가 발생해 상호간 합의된 통화로 대금을 결제한다. 대응수입 이행기간이 통상 3년 이내로써 대응수입비율은 20에서 100%에 해당된다. 대응수입의무를 제 3국으로 전가하는 구상무역의 유형 또한 존재한다.
본고에서는 구상무역 종류 및 한국 기업의 구상무역 사례를 분석해 기업들이 구상무역을 추구하는 이유에 대해 서술해 보고자 한다.
Ⅱ. 본론
1. 구상무역 종류
구상무역은 수출 수입의 거래조건을 정하는 두 개 이상의 조건으로 이뤄지는데 상품이나 기술 매매 계약과 그 거래대금의 일정 비율에 해당되는 현지 물품 구매 계약이 이에 해당된다. 이처럼 구상무역이 수출이나 수입계약에 연계무역의무를 포함하게 된다.
1) 바터 무역
바터란 두 무역 당사국이 현금 수수료 없이 동등한 가치의 물품에 대해 직접 교환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대만에 한국 과일을 수출하며 같은 금액의 대만 바나나를 수입해 오는 방식이라 할 수 있다.
출처 : 해피캠퍼스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