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임상 실습 중 의료진과 환자 및 보호자와의 언어적, 비언어적 치료적 의사소통 사례를 대화 형태로 구체적으로 기술하시오.
2. 위의 사례에서 언어적, 비언어적 치료적 의사소통이 잘된 부분을 구체적으로 기술하시오.
3. 치료적 의사소통이 잘 되지 못해 문제가 발생한 사례를 대화형으로 기술하고, 원인 분석 및 방안을 제시하시오.
본문내용
[대상자의 활력징후와 혈당을 측정하는 상황]
a. 학생 간호사: 안녕하세요. (비언어적 치료적 의사소통: 밝은 표정으로 환자와 눈을 맞추며) 환자분 혈압이랑 체온, 맥박, 산소포화도, 혈당 좀 측정하겠습니다. (비언어적 치료적 의사소통: 누워있는 환자의 눈높이에 맞게 앉은 자세로) (언어적 치료적 의사소통: 정보 제공)
b. 환자: 아 네 알겠습니다.
a. 학생 간호사: 혈압을 측정하기 위해서 소매를 조금 걷겠습니다. (비언어적 치료적 의사소통: 밝은 표정으로 긴장을 풀어주기 위해 접촉[touching])
a. 학생 간호사: (말의 속도를 대상자의 속도에 맞추면서) 죄송합니다. 제가 아직 학생이어서 혈압 소리가 잘 안 들려서 그러는 데 한 번만 더 재볼 수 있을까요? (죄송한 표정으로)
b. 환자: 아 네~ 괜찮습니다.
a. 학생 간호사: 혈압 110/70 나오셨습니다. (언어적 치료적 의사소통: 정보 제공)
b. 환자: (비언어적 치료적 의사소통: 작은 목소리로 투덜거리며) 혈압이 왜 이렇게 낮게 나왔지..
a. 학생 간호사: 네? 혈압이 왜 이렇게 낮게 나왔냐고 여쭤보셨나요? (언어적 치료적 의사소통: 다시 말하기, 재진술) 환자분께서 항고혈압제 약물을 복용하고 계셔서 혈압이 조금 낮게 나오실 수도 있습니다. (비언어적 치료적 의사소통: 웃으면서 말하기) (언어적 치료적 의사소통: 정보 제공)
[혈압을 다시 측정하고 혈당을 측정해야 하는 상황]
a. 학생 간호사: 이제 혈당을 측정할 건데, 환자분 현재 오른쪽에 수액을 꽂고 계셔서 오른쪽에는 혈당 측정이 안 돼요. 왼쪽 손가락을 보여주시겠어요? (언어적 치료적 의사소통: 정보 제공)
b. 환자: 네 알겠습니다.
a. 학생 간호사: 환자분~ 환자분 손가락 피부가 두꺼우셔서 피가 안 나오네요. (비언어적 치료적 의사소통: 환자분과 눈을 마주치며, 웃는 얼굴로) 다른 손가락에 다시 측정해도 괜찮을까요?
출처 : 해피캠퍼스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