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인간호학 케이스 – 건선(피부손상위험성, 상황적 자존감 저하, 지식부족)

목차

Ⅰ. 사례 선정 이유

Ⅱ. 문헌고찰
1. 정의
2. 원인
3. 악화 또는 유발요인
4. 병태생리
5. 임상증상
6. 건선의 분류
7. 건선과 아토피 피부염의 차이점
8. 진단검사
9. 치료방법
10. 예방법
11. 합병증
12. 주의사항

Ⅲ. 간호과정
1. 간호사정
2. 약물
3. 간호진단
4. 간호과정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Ⅰ. 사례 선정 이유

– 남동생의 팔꿈치와 무릎에 인설이 외관상 보기 안 좋기도 했고, 1년 동안 각종 수분크림, 로션과 같은 보습제를 발라도 낫지 않아 외할머니댁에 방문한 김에 어머니의 추천으로 유명한 피부과에 가서 진단을 받은 결과, 건선으로 진단을 받았다.
전에는 때를 안 밀거나 긁어서 생기는 각질이라고만 생각하였었는데, 이번 학기 성인간호학5 피부질환 대상자를 통해 공부해보니 ‘건선’이라는 면역성 피부질환으로 강한 재발성과 악화-호전이 반복된다는 것을 통해 면역력이 약한 동생에게 또 발생할 수 있겠다라는 생각이 들었고, 더 찾아보고 알아보고 싶어졌다. 특히나, 올해 성인이 되어 외모에 관심을 갖는 모습이 떠올라 이번 사례연구를 통해 건선에 대한 지식을 습득하여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고 싶어 ‘건선’이라는 피부질환을 선정하게 되었다.

Ⅱ. 문헌고찰

1. 정의
– 건선은 악화와 호전이 반복되는 만성 염증성 피부 질환으로 피부에 경계가 뚜렷하며 다양한 크기의 은백색의 비늘로 덮여 있는 홍반성 구진 및 판이 형성되는 질환을 의미한다. 조직학적인 특징은 상피의 과다 증식이며, 다양한 임상 양상을 보인다.

2. 원인
– 건선의 원인은 아직 명확하게 알려지지 않았지만, 원인으로 추측되는 요소로는 유전적 요인, 환경적 악화 혹은 유발 요인, 면역학적 요인 등이 있다. 현재는 유전적 요인을 기반으로 하여 개인의 생활, 환경적 요인이 유발 인자로 작용하고, 면역학적 요인에 의해 각질 형성 세포의 증식 및 염증 반응이 일어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3. 악화 또는 유발 요인
– 피부 외상 : 건선은 피부 손상 부위에 나타날 수 있고 피부 손상에 의해 악화될 수 있으며, 이러한 반응을 쾨브너 현상이라고 한다.
– 감염 : T세포를 활성화시키는 박테리아 독소와 같은 특정 독소는 피부에서 림프구에 항원 노출을 유도하는 경향이 있어 건선 병변을 유발할 수 있으며, 감염에 의한 건선 발병은 15~76%에 해당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출처 : 해피캠퍼스

코멘트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