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문헌 고찰
1) 간호력
(1) 개인력
(2) 현병력(발병 시부터 병원에 오기까지의 상황)
(3) 과거력 (과거 질병력, 입원경험, 수술경험, 정기검진)
(4) 가족력
2) 간호사정
(1) 신체검진
(2) Laboratory Data (비정상치는 *로 표시할 것)
(3) Medications
3) 간호계획, 간호수행, 간호평가
본문내용
간호진단
협착으로 인한 불안정한 폐환기와 관련된 비효과적 호흡 양상
목표
단기목표
1. 대상자는 12시간 이내에 Spo2 95% 이상을 유지한다.
2. 대상자는 12시간 이내 호흡수가 정상범위를 유지한다.
장기목표
1. 대상자는 24시간 동안 Spo2가 95% 이상을 유지한다.
계획
[진단적]
1. 대상자의 V/S을 주기적으로 체크한다.
2. 대상자의 ABGA 검사결과를 모니터링 한다.
3. 대상자의 피부색을 사정한다.
4. 대상자의 의식수준을 사정한다.
<중 략>
이론적 근거
[진단적]
1. V/S는 대상자의 기본적인 상태를 반영하는 객관적 지표로 활용할 수 있다.
2. 폐의 가스교환 능력을 알아보는 가장 주된 방법이고, 중환자를 평가하고 관리하는데 가장 기본적으로 이용하는 검사이다.
3. 창백과 청색증은 불포화혈액의 상승을 의미하고 호흡이 더 이상 적절한 산소화를 유지할 수 없음을 의미한다.
4. 불안하고, 몸을 떨거나 처지는 현상은 저산소증의 증상이라고 할 수 있다.
출처 : 해피캠퍼스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