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육의 개념 및 필요성을 정리하고, 오늘날 우리사회의 특징에 근거하여 보육의 방향에 대한 학습자의 의견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보육
1) 개념
2) 필요성
2. 현대사회
1) 특징
2) 현대의 영유아관과 교육사상
3) 보육의 방향

Ⅲ. 결론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우리나라는 영유아보육법에 의하여 영유아와 가정의 복지증진을 위하여 애쓰고 있다. 우리나라 최초의 보육활동은 전쟁직후 빈민구제사업의 일환으로 시작된 것으로 1921년 태화기독교사회관에서 빈민가정의 자녀를 돌보아주는 것에서 시작하였다. 1961년 장기간 보호를 필요로 하는 아동이 많아짐에 따라 아동복리법을 제정하고 보호자가 근로나 질병 등으로 아동을 보호할 능력이 없을 때 아동을 보호할 수 있도록 하며 빈곤계층, 저소득층 등의 아동을 제한하여 보육하던 선별주의적 정책으로 진행되었다.
현대에 들어서며 탁아의 개념이던 보육의 개념은 점차로 변화하였다. 단순히 아동을 보호하고 맡아 돌보는 것이 아니라 영유아의 전인발달을 도모하기 위한 교육의 기능이 함께 하여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졌고 아동의 권리향상에 관심을 갖기 시작하며 1991년 영유아를 건강하고 안전하게 보호 양육하며 영유아의 발달특성에 맞춘 교육을 제공하기 위한 영유아보육법을 제정하기에 이른다.

출처 : 해피캠퍼스

코멘트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